제주4·3과 관련한 기록물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사업이 본격화된다.
제주도는 4·3 70주년을 맞아 4·3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화합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2021년을 목표로 4·3기록물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사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4·3기록물은 4·3희생자 재판기록물, 군·경기록물, 미군정 기록물, 무장대 기록물 등이다.
지금까지 확인된 기록물은 문서류 1196점, 사진류 63점, 영상·녹음기록물 1677점 등 총 2936점이다.
이번 사업은 2012년 전문가초청 토론회를 계기로 시작됐다. 이후 2013년 도의회 정책 세미나, 2015년 제67주년 4·3희생자 추념식에서 도지사가 추념사를 통해 구체적인 추진의사를 밝히면서 올해 국비 1억원을 확보하게 됐다.
도는 우선 4·3전문가를 한시적으로 채용해 4·3기록물 분석과 자료수집, 수집되지 않은 4·3기록의 현황조사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어 2019년 상반기 문화재청에 신청서류를 제출하고, 국제학술심포지엄 등을 통해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 심사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4·3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려면 인류문화의 중요기록을 담고 있어야 한다.
유네스코는 신청 대상 기록물의 진정성·독창성·비대체성·세계적 영향성·희귀성·원형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등재 여부를 결정한다. 등재 결정은 격년제로 홀수 해에 하며, 국가마다 2건 이내로 신청할 수 있다
도 관계자는 “이미 등재된 기록물들과 4·3기록물을 비교했을 때 독창성이나 세계적영향성 면에서 등재가치가 높게 인정되고 있다”며 “지금까지 확인된 것을 재분류하고, 미확인 기록물을 추가로 발굴하는 데 집중하는 등 철저한 대비를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1992년 시작됐다. 전 세계적으로 기록유산에 대한 보존의식이 확산되면서 지금까지 128개국·8개 기구, 427건이 등재돼 보호받고 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제주4·3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사업 본격화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