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가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3년 아랍에미리트(UAE)와 비밀리에 상호군수지원협정(MLSA)을 체결했다는 보도가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이 UAE특사로 파견된 이유도 이 협정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국일보는 전직 정부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2013년 청와대와 김관진 당시 국방부 장관의 지시로 은밀하게 MLSA를 체결했으며 여기엔 긴급사태, 작전, 연습, 평화유지활동, 등에 우리가 UAE를 군사적으로 지원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고 1일 보도했다.
MLSA는 양국 군대가 전시상황이나 평시 군수지원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물자와 용역을 지원하는 협정이다. 2011년 UAE에 아크부대를 파병한 데 이어 군수물자까지 지원하는 협정을 체결하면 유사시 아크부대는 중동지역 분쟁에 자동 개입해야 할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직 고위 관계자는 한국일보에 “2013년 10월쯤 한국과 UAE의 군수분야 국장급이 만나 비공개로 MLSA를 체결했다”며 “중동지역 국가들과의 외교관계를 고려해 국회에도 MLSA체결을 알리지 않고 청와대와 김관진 당시 국방부 장관의 지시로 은밀하게 진행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양국 간의 신의를 고려해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양해각서(MOU) 형식인 MLSA엔 긴급사태, 작전, 연습, 평화유지활동, 탄약지원 등의 상황에서 우리가 UAE를 군사적으로 지원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양국은 국장급 실무자가 매년 양국을 번갈아가며 군수협력을 위한 정례 회의를 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의 UAE특사 파견이 이 협정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서울 논현동 자택에서 열린 신년하례회에서 UAE와 이면계약은 없었다고 부인했지만 원전수주를 대가로 군사지원 협정이 맺어진 게 사실이라면 이에 대한 책임을 피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