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란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다스’(DAS) 수사와 관련해 주진우 시사인 기자가 참고인 신분으로 26일 검찰에 출석했다.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부장검사 신봉수)는 오전 10시 주 기자를 불러 이 전 대통령이 외교 당국을 움직여 ‘다스’가 불법 이득을 취하도록 했다는 의혹 등과 관련한 그의 취재 내용 및 자료에 대해 조사했다. 이 전 대통령의 ‘다스’ 의혹을 추적해온 주 기자는 오전 9시55분쯤 관련 자료를 싼 보자기를 들고 검찰을 찾았다.
그는 “이명박 전 대통령 관련 취재 자료를 제공해 달라는 말을 듣고 왔다”며 “다스가 140억원을 돌려받기 위해 (이명박정부) 청와대가 어떻게 움직였는지 등이 담긴 서류와 다스 핵심 관계자의 하드디스크 등을 가져왔다”고 말했다. 이어 “한 시대가 가고,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가 시작되는 것을 보니 마음이 이상하다. 권력에 비판적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을 제어하는 데 큰 역할을 했던 일부 검사들이 이제라도 국민의 검사, 검찰로 돌아오기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나라를 망가뜨린 데 대해 반성하고 사과해야 한다”며 “부끄러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 전 대통령은 자기는 모른다고 하면서 뒤에선 계속 대책회의를 하고 있다. 회의할 때가 아니라 부끄러움에 대해 얘기할 때“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BBK 주가조작’ 사건의 피해자인 옵셔널캐피탈 장모 대표는 이 전 대통령과 김재수 전 로스앤젤레스 총영사 등을 직권남용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그는 옵셔널캐피탈이 민사소송으로 BBK 측 김경준씨에게 횡령액을 돌려받기 직전 이 전 대통령이 외교부를 통해 다스가 먼저 140억원을 챙기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다스의 비자금 횡령 의혹에 대해서도 재수사에 돌입했다. 서울동부지검은 서울중앙지검에서 관련 자료를 넘겨받고 ‘다스 횡령 의혹 관련 고발 사건 수사팀’을 공식 가동했다. 수사팀은 다스 관련 사안 가운데 참여연대가 고발한 비자금 부분을 수사한다. 참여연대는 지난 7일 이 전 대통령의 ‘BBK 의혹’을 수사했던 정호영 전 특별검사, 이 전 대통령의 친형 이상은 다스 대표이사, 성명 불상의 다스 실소유주 등을 검찰에 고발했다.
참여연대는 정 전 특검이 당시 제기된 의혹과 관련해 여러 정황을 파악했음에도 이를 수사 결과에 포함시키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상은 다스 대표이사와 다스 실소유주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횡령),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조세),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로 고발됐다.
참여연대는 고발에 앞서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다스가 수입 원자재 가격을 부풀리는 방식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의혹이 있다고 밝혔다. 조성된 비자금 120억원이 모두 17명 명의의 43개 계좌에서 관리됐고 2008년 다스 계좌로 입금됐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2007년 말 정호영 특검이 이 계좌들을 확인하고도 ‘다스로 입금시킬 것’을 조건으로 사건을 마무리했다는 의혹에 대해 검찰이 수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검찰은 공소시효가 얼마 남지 않은 정 전 특검을 첫 수사 대상으로 삼을 가능성이 있다. 정 전 특검은 2008년 2월 21일 ‘다스 비자금’ 관련 최종 수사 결과 발표를 했다. 수사팀 발족일 기준으로 공소시효는 58일이 남아 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