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인천시에 따르면 민·관 자문위원회가 7차례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시민토론회 등을 통한 시민 의견을 반영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을 제안했다.

위원회는 재단명칭, 출범시기, 운영원칙, 설립목적, 기본재산, 조직 운영 등 주요 운영 기준을 제시했다.

인천복지재단 민관자문위원회(위원장 권정호·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이날 인천시청 공감 회의실에서 제7차 민관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번 민관자문위원회에서는 300만 인천시민에게 고품질의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행복한 복지공동체 조성을 위한 인천복지재단의 조속한 설립을 촉구하며, 인천복지 발전에 대한 열망을 담아 민관자문위원회 전체 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인천광역시에 정책 제안할 예정이다.
인천복지재단 민관자문위원회는 지난 8월에 인천광역시 의원, 사회 복지분야에 학식과 경험이 있는 자, 사회복지사업을 위하는 비영리법인 대표자, 사회복지단체(시설) 및 시민 단체, 인천시 담당공무원 등을 포함한 사회복지 전문가 20명으로 구성됐다.

민관자문위원회는 인천대학교 권정호 교수를 위원장으로 선출하고, 위원장 중심으로 위원들의 바쁜 일정과 회의 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중식을 도시락으로 대체하는 등 7차례에 걸친 심도 있는 회의와 지난 10월 18일 대시민 토론회에서 수렴한 의견을 토대로 7개 항목으로 구성된 주요 운영 기준을 마련했다.
재단명칭은 재단법인 인천복지재단으로 제안됐다.
출범시기는 2018년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에 하는 것으로 제안됐다.
재단 운영은 전문성, 독자성, 지역성, 협력성, 공공성을 원칙으로 운영하며, 재단의 사업은 기존 민간기관 및 단체가 시행하는 사업과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는 원칙이 제시됐다.
재단 설립목적은 사회복지정책 연구·개발, 시민에 대한 사회복지 서비스 증진, 민간복지 활성화를 위한 지원·육성이다.
재단의 기본재산은 50억원 이상으로 출연하는 것으로 제안됐다.
재단의 조직운영은 사회복지정책 연구와 서비스 품질관리를 핵심기능으로 하며, 우수한 사회복지전문 인력으로 구성하고 이를 단계별로 증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정관에는 재단의 전문성 및 독자성이 유지 될 수 있도록 정치적 중립을 보장하며, 민간복지 사업 증진을 위한 협의·조정 기능을 반영하기로 했다.
자문위원회에서는 논의된 의견을 이날 시 출입기자단 설명회를 시작으로 14일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위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를 갖기로 했다.
또 이달 중에 인천사회복지 직능단체 및 인천지역 군구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대상으로 한 설명회를 통해 인천복지재단 설립에 대한 인천시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해 나갈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그동안 관주도로 진행됐던 인천복지재단 설립이 사회복지 전문가 중심으로 구성된 민관자문위원회에서 심도 있게 논의된 결과가 제안된 만큼 자문 의견을 복지재단 설립에 적극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300만 인천 시민에게 고품질의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행복한 복지공동체를 조성하고 시민 중심의 시민의 의한 시민복지가 실현되도록 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