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기고] 메마른 땅에서 움트는 생명의 씨앗

Է:2017-10-17 15:06
:2017-10-17 15:13
ϱ
ũ
끼이익, 문을 연다. 먼지가 자욱하고 퀴퀴한 냄새로 가득찬 방. 빛 한 점 들어오지 않는 좁고 어두운 방에서, 엄마의 긴 산고 끝에 아기의 우렁찬 울음소리가 들린다. 세상을 처음으로 마주한 아기를 돌보는 손길들이 분주하다. 미리 모아 둔 빗물로 아기를 씻기고, 녹슨 의료기구로 처치를 한다. 낡은 침대에 누운 엄마는 다 해진 천에 싸인 아기를 받아 품에 안고, 아기에게 젖을 물린다. 세상의 모든 것을 다 주어도 바꿀 수 없을 사랑스러운 아기가 엄마를 보며 웃는다.


[청년기고] 메마른 땅에서 움트는 생명의 씨앗
나유경 굿네이버스 탄자니아 장기 해외자원봉사자

유니세프 자료에 따르면, 탄자니아 인구 10만 명 당 454명의 산모들이 임신이나 출산 도중 사망하며, 5세 미만 영아사망률은 1천 명 당 81명에 이른다. 탄자니아의 의료체계가 매우 열악하다는 것을 증명하기라도 하듯, 탄자니아의 산모 사망률은 세계 5위에 달한다. 마을과 너무도 멀리 떨어져 있는 보건시설을 찾아가는 것은 산모들에게 매우 힘겨운 일이다. 가장 큰 이유는 '빈곤'이다. 

빈곤으로 인해 일을 해야 하기에 산모들은 보건시설에 갈 수 있는 여유도 없을뿐더러, 의료시설까지 갈 교통비조차 마련하기 힘들다. 어렵게 보건시설에 찾아간다고 해도 적절한 의료장비나 인력이 충분치 않아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도 없다. 보건시설에 찾아올 수 없는 산모들은 대부분 집에서 산파도 없이 아기를 낳는다. 탄자니아의 전체 분만 수 대비 보건시설 분만 비율은 51%다. 산모들 중 절반이 시설이 아닌 다른 곳, 심지어 길가에서도 분만을 한다. 의료시설이 아닌 곳에서의 분만은 자연히 비위생적인 환경과 잘못된 분만 방법으로 이어지고, 이는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해치는 또 다른 문제 요소가 된다.

필자가 현재 해외자원봉사단으로 몸담고 있는 국제구호개발 NGO 굿네이버스는 한국국제협력단의 지원으로 2015년부터 탄자니아 신양가 주 키샤푸 군에서 병원과 보건소 등 49개 보건시설들을 대상으로 모자보건 시설 및 장비 개선, 모자보건 서비스 역량 강화 등의 모성보건사업을 진행했다. 또한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모성보건 인식 개선사업 등도 실행되고 있다. 필자는 보건시설과 인근 마을을 정기적으로 순회하며 굿네이버스의 사업을 통해 의료환경 및 서비스, 모성보건 인식 등이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조사한다. 흙먼지로 가득한 거친 길을 차로 왕복 4~5시간씩 달리다 보면, 우리에게는 너무나 당연했던 것들이 이곳에서는 당연하지 않은 것에 마음이 아플 때가 많다. 아픈 곳이 있어도 여러 이유로 병원에 오지 못하는 엄마들, 간단한 약으로도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을 약과 의료장비가 없어 치료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보고 있노라면 형언할 수 없는 안타까움과 슬픔이 가슴 속에서 요동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곳에서도 희망의 씨앗이 싹 트고 있다. 굿네이버스는 열악한 환경의 보건시설의 개보수를 실시했고, 분만에 필요한 전기 및 수자원 공급 시설을 제공했다. 또한 의료장비 지원 등을 통해 보건시설들을 확충했으며, 정기적으로 의료인력 및 마을보건요원들에게 모성건강에 대한 교육을 실시했다. 그리고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어드보커시 활동을 통해 모성건강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이해 및 관심을 증진하는 활동도 진행하였다. 이러한 활동으로 보다 많은 지역주민들이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고, 모성보건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관심을 일깨울 수 있었다.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은 누구나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뿐만 아니라 아플 때 적절한 치료와 도움을 받을 수 있어야 하며,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고 건강하게 낳는 축복 또한 누릴 수 있어야 한다. 10월 17일은 세계빈곤퇴치의 날이다. 탄자니아를 포함한 빈곤 국가의 엄마와 아기들이, 빈곤과 질병으로 허망하게 고통 받거나 생명을 잃지 않기를 소망한다.


청년들의 의견을 듣는 ‘청년기고’ 코너는 다양한 청년들의 목소리를 담는 코너입니다. “청년의, 청년에 의한, 청년을 위한” 셋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모든 기고는 수정 없이 게재하며 국민일보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청년기고 참여를 원하시는 분께선 200자 원고지 6매 이상의 기고문을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에게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