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대 메소포타미아 유적에서 발견된 청동 동전 속 인물이 예수라는 영국 성서 역사가의 주장이 나왔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29일(현지시간) "1세기 도시국가 에데사에서 유통된 것으로 추정되는 동전 속 인물이 예수"라는 성서 역사가 랄프 엘리스의 주장을 소개했다. 에데사는 지금은 사라진 터키 남동부 지역의 고대 도시국가다. 동전은 에데사 마누왕의 유물로 알려졌다.
엘리스는 "역사가들이 수세기 동안 노력했지만 예수의 진짜 모습을 찾지 못했다"며 "수염을 기른 남성의 옆 모습이 새겨진 동전을 통해 그 해답을 얻을 수 있다. 1세기 때 제작된 이 동전이 예수의 모습을 담은 유일한 유물"이라고 주장했다.
예수는 서양미술에서 가장 많이 그려진 인물이다. 하지만 성경에서 예수의 모습은 묘사되지 않았다. 최근 묘사되는 예수의 모습은 6세기 이후 유럽에서 전해진 그림이나 건축물을 통한 상상화다. 20세기 이후 과학자들의 가설을 통해 추측된 모습도 있지만 상상화만큼 불확실하다. 엘리스의 주장이 사실이면 동전은 동시대 유물에 나타난 예수의 첫 초상이 된다.

엘리스는 "30년 연구 끝에 예수와 마누왕이 동일 인물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며 "역사적 기록과 일화 등을 교차 검증해 예수와 마누왕의 생애를 연구했고, 예수와 마누왕 사이에 우연으로 설명할 수 없는 유사점을 많이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마누왕이 사후 ‘아이자 마누’와 ‘예수 엠마뉴엘’이라는 두 개의 이름으로 언급된 점에 주목했다. 이를 "예수와 동인인물이라는 증거"라고 했다.
또 "에데사 왕의 왕관은 동전에서 보이는 것처럼 가시나무의 면류관"이라며 "예수가 로마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을 당시 유일하게 가시관을 쓰도록 강요당했다. 이것 역시 그가 마누왕과 연관이 있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엘리스는 최근 영국에서 '에데사의 왕, 제우스'라는 제목의 책을 펴내며 "어디에도 예수의 모습을 증명하는 자료가 없다. 신앙만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문제가 안 되겠지만 역사가로서는 매우 골치 아픈 일"이라며 "성경에 나오는 사건과 사람들이 역사상 존재했다는 사실을 찾기 위해 내 삶을 바쳤다"고 말했다.
이어 "서양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인 예수를 성서에서 역사로 끌어내야만 한다. 이 동전이 예수의 정체성 구축에서 강력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엘리스의 주장은 당연히 반론에 부딪쳤다. 이 동전이 약 70년 동안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마누 8세를 위해 제조된 물건이라는 또 다른 가설이 엘리스의 주장과 충돌했다.
하지만 엘리스는 "청동 동전은 더 오래된 물건"이라며 "전통적으로 전해진 예수의 행적과 모순되는 가설로 비판이 크겠지만,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예수와 마누왕이 동일인이었다는 가설은 상당히 중요한 발견"이라고 주장했다.
▶[단독] 朴, 영장 발부돼도 1.9평 일반 독방엔 안 갈 듯
▶공감 4만개 최진실 딸의 글 '스윙스 잘못 알아줬으면…'
▶정태욱 살린 이상민의 '20초'… 응급처치 교범
▶[단독] 朴 “뇌물 받으려 대통령 된 줄 아느냐” 흥분해 탈진
▶검찰 “박 전 대통령, 전혀 반성하지 않고 있다”
▶'BBK 실소유주는 이명박' 폭로 김경준, 오늘 만기출소
▶박 전 대통령 구속된다면 첫 식사는?… 구치소 생활 엿보기
▶마티즈 탄 미모의 BJ, 운전 도중 생방송하다 즉사
최민우 인턴기자 cmwoo1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