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사태에 시민단체·업계 반발…“유동성 지원 등 대책 마련해야”

Է:2016-08-31 11:21
ϱ
ũ
국내 1위, 세계 7위 해운사인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를 앞두고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 항만·해운업계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부산항발전협의회(공동대표 박인호) 등 100여개 시민·사회단체들과 해운·항만업단체연합 회원 등 2000여명은 31일 오후 3시 부산국제여객터미널에서 ‘한진해운 살리기 범시민 결의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한진해운의 법정관리행이 부산항의 지위를 위협하는 것은 물론 부산항과 연계해 경제 활동을 하는 종사자들의 주름살도 깊게 할 전망”이라며 “정부는 유동성 지원 등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해운·항만업계는 “한진해운이 법정관리 될 경우 연간 100개 이상의 환적화물 감소, 운임 급등 등으로 입게 될 피해금액은 최대 17조5600억원으로 추산된다”며 금융위원회 등에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부산항에서 한진해운의 용선과 자사선 등 157척의 운항이 중단될 경우 120만개의 컨테이너가 묶이게 되면서 2300여개의 1차 일자리 감소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일자리 감소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할 경우 연간 552억원(1인 월평균 급여 200만원 책정시)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부산항과 관계된 선용품, 벙커링, 예·도선, 하역업체 등 전 영역으로 확산될 경우 2차 일자리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부산상의(회장 조성제) 등 상공계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정부의 유동성 지원 등을 촉구했다.

상공계는 성명서를 통해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를 넘을 수 있도록 지원하지 못한 채 국가기간 산업의 한 축으로써 대체 불가능한 해운기업을 청산하려 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이들은 “산업은행을 중심으로 한 금융권 채권단의 보다 탄력적인 유동성 지원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하는 한편 “한진해운도 국내 해운산업 대표기업으로서 보다 강도 높은 자구방안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또 “금융위원회를 비롯한 정부도 채권단 결정에만 맡겨두지 말고 국익 우선이라는 대승적인 차원 및 부산경제 활성화를 위해 한진해운을 포함한 해운업계가 조속히 정상화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책지원을 하라”고 요구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