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1~9호선 전체 역사의 스크린도어 센서가 승강장에서도 수리·정비가 가능한 ‘레이저센서’로 전면 교체된다. 구의역 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또 1~8호선 역사의 고정문이 언제든지 열고 닫을 수 있는 비상문으로 바뀐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30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구의역 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추가 대책’을 발표했다.
먼저 시는 올해 안에 60억원을 투입해 장애발생이 많았거나 가능성이 높은 2호선 등 총 53개역(스크린도어 3992개)을 레이저센서로 교체하고, 2018년까지 235억원을 투자해 1호선과 3~9호선 나머지 235개 전체 역(스크린도어 1만5662개)도 단계적으로 레이저 선서를 도입한다.
아울러 스크린도어 고장·장애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1~9호선 307개 역에 대한 전수조사는 4인 4개조로 조사단을 편성해 지난 20일 착수했으며 7월 29일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탑승객 비상탈출 안전도 강화한다. 고정문을 상시 개폐가 가능한 비상문으로 교체하는 작업에 속도를 내고 2021년까지 1~8호선 전체 역사에 연차적으로 광고판 철거 및 고정문 교체작업을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지난 17일 발표한 지하철 양 공사 안전분야 7개 업무 직영 전환과 관련해 시는 지난 20~21일 직영전환 전담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7월 중순까지 관련 규정을 제·개정하고 8월부터는 안전업무직을 신규로 공개 채용할 예정이다. 기존의 ‘전직자 재고용 배제’라는 기본원칙 하에서 법적 문제에 합리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법률검토전담반’을 구성했다. 개인별 근무실적 조사, 법적 검토 결과 등을 종합해 9월말까지는 전적자 개인별 조치방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민간위탁업무의 수탁기관이 바뀌어도 종사자의 고용승계를 의무화하고 상시·지속업무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는 서울시가 비용을 부담해 정규직화 하기로 했다. 그 일환으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경영효율화 관점에서 민간위탁 비정규직(2년마다 계약)으로 전환된 ‘수도계량기 검침·교체원’ 428명은 7월 중순부터 시설관리공단에서 직접 고용한다.
시는 현장방문 등을 통해 면밀히 점검한 결과 도로시설물 관리 등 대부분의 안전관련 업무는 시설관리공단 등에서 이미 직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안전관련 외주사업 778개 중 위험도가 높은 업무 74개 가운데 시민·근로자의 생명·안전과 관련이 있고 위험 작업 빈도가 높은 3개 업무는 직영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3개 업무는 서울시설공단의 ‘전용도로 도로전광표지(VMS) 정비·보수 업무, 서울의료원의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의료구급차 운영업무‘, ’터널 및 지하차도 관리 위탁사무‘다.
시가 시행하고 있는 생활임금제도가 시의 민간위탁기관까지 확대 적용된다. 350개 민간위탁 사무 중 생활임금에 미달된 급여를 받고 있는 35개 사무에 대해 17개 사무는 올해 7월부터 생활임금제를 도입하고 나머지도 2017년 1월부터 도입하도록 추진한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서울시, 2018년까지 1~9호선 역사 전체 스크린도어 센서 전면교체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