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미인 양귀비가 즐겨 사용했다는 가지 팩에 숨겨진 과학적 비밀 하나를 찾아냈다. 가지에 포함된 성분이 여드름 퇴치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서울대병원은 피부과 서대헌(사진) 교수팀이 가지 추출물 ‘루페올’이 여드름 환자의 피지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 개선에도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 피부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미국피부연구학회지 최신호에 보고했다고 22일 밝혔다.
여드름은 청소년 및 청년 시기에 주로 발생해 큰 정신적 스트레스 뿐 아니라 적절하게 치료하지 못하면 얼굴에 영구적 흉터를 남긴다. 그러나 기존 약제들은 임상 효과와 동시에 다양한 부작용이 있다. 예를 들어 레티노이드 도포제는 화끈거리고 타는 듯한 느낌을, 항생제 도포제는 항생제 저항성을 유발한다. 경구 레티노이드제는 가임기 여성에서 기형아 출산의 위험성과 함께 간기능 및 지질 대사 이상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서 교수팀은 전통적으로 피부미용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을 대상으로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효과적인 여드름 치료제 개발에 나서 다섯 가지 후보 식물을 뽑아 검증실험을 진행했다. 5개 후보 식물은 짚신나물, 쥐오줌풀, 석송, 가지, 강황 등이었다.
실험결과 이 중 가지가 항지질, 항염, 항균, 독성의 측면에서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 교수팀은 곧바로 유효 성분 탐색에 들어갔다. 그래서 찾은 물질이 트리테르펜(Triterpene) 계통의 화학성분인 ‘루페올’이었다.
루페올은 항(抗)여드름 물질로서 매력적인 특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무엇보다도 물과 친하지 않아 피부 장벽을 잘 투과하며, 변형을 잘 견뎌 화합물을 만드는데 적합했다. 아울러 매우 안전한 물질이란 것도 이전 연구를 통해 이미 밝혀진 상태였다.
서 교수팀은 여드름 환자에게 하루에 두 번씩 4주 동안 여드름이 생긴 부위에 2% 루페올을 바르게 하고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피지 생성이 58% 감소됐으며 염증 개선율도 64%에 달했다. 나아가 피부 각질화 현상이 뚜렷하게 줄어들고 항균 작용에 따른 독성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루페올이 여드름 발생의 피지 생성 등 4대 위험인자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모두 갖추고 있다는 뜻이다.
서대헌 교수는 “루페올은 실험결과 피지생성, 염증, 각질화 등 여드름의 여러 원인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새로운 여드름 치료제로 산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피부미인’ 양귀비를 만든 건 가지 속 루테올 성분의 힘이었다?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