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스트는 “반 총장은 (유엔 내부의) 행정 능력이나 (유엔 밖의) 통치 능력 모두에서 실패한 총장으로 평가받고 있다”며 “코피 아난 등 전 총장들에 비해 강대국들에 맞서는 것을 싫어했고 말을 잘 못 하는데다 절차에만 집착했다”고 평가했다.
또 “현안에 대한 빠른 대처 능력이나 업무 깊이도 부족하다. 임기 9년이 지났는데도 ‘점령’ 같은 논란이 되는 용어를 쓰는 실수도 했다”며 “가장 활기 없는, 최악의 총장 중 한 명”이라고 혹평했다.

반 총장은 지난 3월 북아프리카 순방 중 알제리 남서부 틴두프 지역의 스마라 난민촌을 방문해 모로코가 서사하라 지역을 ‘점령’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 총장의 발언으로 1975년 서사하라를 병합해 자치권을 부여하고 있는 모로코 정부는 반발했다.
이코노미스트는 “반 총장은 우수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인물이 아니라 거부권을 가진 미국, 영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등 상임이사국 5개국(P5)이 특별히 반대할 이유가 없는 무난한 사람이었다”며 “후임 총장은 그런 사람이 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는 “후임 총장은 ‘동유럽 출신의 여성이어야 한다’는 말이 나오는데 지역이나 성별이 아니라 수많은 난제가 있는 유엔을 잘 이끌 능력이 있는 사람이 돼야 한다”며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같은 후보가 나와야 한다”고 밝혔다.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