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25일 차기 총선의 전략공천 여부와 관련, "상대 당 후보가 센 사람이 나왔다든지, 아니면 호남 지역에 (공천) 신청한 후보가 없다든지 할 때에는 전략공천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이날 YTN 라디오에 출연해 "전략공천이라는 개념이 어떤 개념인지 봐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는 김무성 대표의 전략공천 전면 불가 방침과는 배치되는 '전략공천 불가피론'으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상대 후보가 강하거나 신청 후보가 없는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 자체가 전략공천의 원래 개념이기 때문에, 이번 총선에서도 전략공천의 기본 틀은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중을 드러낸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김 정책위의장은 "어떤 후보도 가지 않으려는 지역에는 불가피하게 당에서 추천해서 해야 하는데, 그런 것까지 전략공천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대표가 말한 전략공천은 당 지도부 같은 쪽에서 임의로 갖다 꽂는 방식을 말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새정치민주연합처럼 전략공천 비율을 미리 정할지에 대해선 "그것은 의원총회에서 한 번 토론을 해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여권 주류인 친박(친박근혜)계에서 사실상 전략공천의 불가피성을 주장해온 가운데 비박(비박근혜)계 지도부의 일원인 김 정책위의장도 사실상 전략공천에 힘을 싣고 나섬에 따라 추석 연휴 직후부터 공천제도를 둘러싼 논란이 재점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전략공천 문제는 김 대표가 명운을 걸고 추진 중인 국민공천제(오픈프라이머리)와도 직결된 사안이어서 오는 30일 선거·공천 제도를 주제로 열릴 예정인 의원총회에서 격론이 예상된다.
김 정책위의장은 국민공천제에 대해서도 "선거를 한 번 하는 것 같은 효과가 나는 완전한 오픈프라이머리 방식도 있을 수 있고, 우리 당원들 일부 비율과 우리 국민 일부 비율을 넣어서 하는 방식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방식을 찾으려 하고 있다"며 수정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또 "이중선택 등의 문제가 있어서 여야가 같이 해야 순수한 오픈프라이머리는 가능하다"면서 "추석 전에 양당 대표가 만나서 이 부분에 대해 결정을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야당이 안 하겠다고 하면 우리 새누리당만이라도 할 것이냐, 안 할 것이냐는 30일 열리는 의원총회에서 결정할 것 같다"고 밝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상대후보 세거나 신청자 없으면 전략공천” 김정훈, 김무성 ‘제로 전략공천’ 이견?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