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내부에서 내년 4월 총선에 적용될 공천 제도에 대한 결정이 늦어지면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4월 의원총회에서 당 보수혁신특별위원회의 '국민공천제'(오픈 프라이머리)를 골자로 하는 공천 혁신안을 추인하기는 했지만 어떻게든 현실을 반영해 바뀌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7개월 앞으로 다가온 총선 출마를 저울질하는 정치인들은 여의도에 안테나를 높이 세우고 상황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공천 불안감에 정치 신인은 물론 비교적 유리한 위치에 섰다는 현역 의원들도 정기국회 기간임에도 자신의 지역구에 발이 묶여 의정 활동은 뒷전으로 밀리는 양상도 보이고 있다.
특히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가 최근 오픈 프라이머리를 사실상 거부하고 20% 범위의 전략공천 허용, 정치신인 10% 가산점 등 잇따라 현실적 대안을 제시하며 발 빠르게 치고 나가자 위기감이 고조됐다.
국민이 후보를 직접 뽑는다는 오픈 프라이머리가 명분은 좋지만 결국은 현상 유지에 머무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유권자로부터 외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금 정치 환경에서는 젊고 참신한 후보가 오픈 프라이머리의 벽을 넘기 어렵다"면서 "야당은 총선에 새로운 얼굴을 앞세우고 여당은 고인 물이라는 이미지로 낙인 찍히면 결국 필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더욱이 여당의 '정치적 텃밭'으로 통하는 영남권에서 정체된 모습을 보일 경우 서울과 수도권에서 거센 역풍이 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총선을 거듭할수록 초선 비율이 절반을 넘어설 정도로 높아지는 등 이른바 '물갈이 지수'가 유권자의 주요 평가 잣대가 되는 분위기다.
게다가 여야가 동시에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하지 않은 상황에서 선거관리위원회가 유권자 명부를 배부할 경우 형평성 논란이 일 게 뻔하다. 또 한다고 해도 예선에서만 수억원의 선거 비용이 예상돼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대통령 정무특보인 김재원 의원은 BBS라디오에서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하는 미국에서는 현역 의원들이 거의 교체되지 않는다"면서 "선거 비용과 역선택의 문제 등에 대한 아무런 방안 없이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만 주장해서는 곤란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당 지도부에서도 현실에 맞게 공천 제도를 조속히 확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7일 최고위원회에서 지지기반이 불안한 후보자를 겨냥한 자생적 당원모임에 대한 문제가 거론되자 한 참석자는 "공천제도를 빨리 확립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문제 계속 생긴다"면서 대안 마련을 촉구했고, 일부 최고위원도 이에 동조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與만 오픈프라이머리하면 물갈이 안돼 필패” 지도부 조속한 대안 마련 요구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