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생명공학과 최강열 교수팀과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정기양 교수팀이 큰 상처도 흉터 없이 빠르게 치유할 수 있는 물질(펩타이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상처 치유를 위한 신호전달체계(윈트신호전달체계)의 흐름을 막는 단백질(CXXC5)을 밝혀내고 이를 차단해 상처 치유 효과를 획기적으로 높였다.
윈트신호전달계가 피부 상처 치유와 콜라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그동안 다양한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연구팀은 CXXC5가 윈트신호전달계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디세블드에 결합함으로써 윈트신호전달계를 저해하고 상처 치유와 콜라겐 형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를 바탕으로 CXXC5-디세블드 결합을 막는 펩타이드(PTD-DBM)를 개발한 뒤 인체세포와 쥐를 상대로 실험한 결과 상처 치유 및 콜라겐 형성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는 점도 규명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상처 치료는 물론 다양한 피부질환의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피부 재생 촉진제를 개발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는 의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인 ‘저널 오브 익스페리멘털 메디신’ 6월 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국내 연구진, 큰 상처 흉터 없이 치유하는 물질 개발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