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은 수사 초기 거듭해서 “귀인(貴人)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성 전 회장이 사망한 상태에서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입증하려면 자금 전달 과정을 상세히 아는 사람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취지였다. 리스트 의혹 수사가 막바지에 이른 현재 상황을 종합하면 수사팀이 기다렸던 ‘귀인’은 경남기업 비자금 관리를 맡았던 한장섭 전 부사장으로 보인다.
8일 검찰 등에 따르면 한 전 부사장은 홍준표 경남지사에게 1억원, 이완구 전 총리에게 3000만원, 김근식 전 새누리당 수석부대변인에게 2억원이 건네진 정황을 특별수사팀 수사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진술했다. 수사팀 역시 한 전 부사장의 일관된 진술을 근거로 3인에 대한 소환 조사 등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전 부사장은 앞서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가 경남기업을 수사할 때부터 비자금 ‘32억원’의 사용처를 놓고 성 전 회장과 대립했다. 성 전 회장은 “내가 32억원을 다 쓴 게 아니다”고 했고, 한 전 부사장은 “회장님께 다 갖다드렸다”고 반박하는 상황이었다. 한 전 부사장은 지난 3월 진술이 엇갈리자 녹음 준비를 하고 “홍 지사와 김 전 부대변인에게 돈을 준 사실이 있지 않냐”고 성 전 회장에게 먼저 물었다고 한다. 이후 특별수사팀 조사에서 녹음파일을 제출했다. 결국 비자금 조성과 지출 내역을 상세히 아는 한 전 부사장의 ‘입’이 열리면서 수사팀이 ‘기초공사’를 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한 전 부사장은 특히 비자금 중 2억원에 대해서는 김 전 부대변인 외에 다른 사람을 지목한 적이 없다고 한다. 구속영장이 기각된 김 전 부대변인의 변호인은 “한 전 부사장은 불법자금 조성 혐의가 있어 객관적 진술을 했을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사팀은 한 전 부사장이 재무담당 총책임자였던 점 등을 고려할 때 자금 전달 과정에 대한 그의 진술에 신빙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수사팀 관계자는 지난달 20일 “관련자들 진술이 모두 일관되지는 않지만, 보물 같은 그 진술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수사팀이 향후 홍 지사, 이 전 총리 등과 벌일 법정공방에서도 수사팀 측 증인으로 출석해 ‘키맨’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성완종 리스트’ 홍문종 오늘 소환 조사
▶[단독] 서산장학재단 2013년 10월 ‘사라진 17억’ 미스터리
▶ 성완종 리스트 수사, 이렇게 달려왔다
▶ 수사는 이렇게 달려왔다… 檢, 지난달 28일 “기둥 2개 있더라” 은유
▶ 檢, 남은 6인 중 ‘친박 3인방’ 우선 주목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성완종 리스트 수사 ‘귀인’은 한장섭 경남기업 전 부사장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