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에 따른 불안으로 휴업에 들어가는 학교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보건복지부와 교육부가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메르스 확산으로 학부모와 학생의 걱정은 커져가는 데 정부는 체계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우왕좌왕하고 있다는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교육부는 예방적 차원에서 학교장이 휴업을 결정하도록 조치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보건복지부는 휴업이 옳지 않다며 맞선 모양새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휴업 학교가 발생한 서울·경기·충남·충북 교육감과 메르스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황 부총리는 “현재 위기경보가 ‘주의’ 단계지만 학교는 학생이 모여 있는 곳이고 학생의 생명과 건강이 무엇보다 우선돼야 하므로 ‘경계’ 단계에 준하는 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휴교나 휴업은 ‘경계’ 단계에서 작동하는 방안이지만 예방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몇 시간 뒤에 발표된 보건복지부의 입장은 달랐다.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의 권준욱 기획총괄반장은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일선에서 일부러 학교를 휴업하는 일은 의학적으로 맞지 않고 옳지 않은 일”이라고 밝혔다.
‘의학적으로’라는 표현을 썼지만 사회·교육 부처를 총괄하는 황 부총리의 발언과 배치되는 것이다.
브리핑에 동석한 대한감염학회 김우주 이사장 역시 “메르스는 전염률이 낮고 학교와 메르스가 무관하다”며 휴교 조치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일선 학교 입장에서는 교육부 입장을 따라야 할지, 아니면 복지부를 믿고 휴업을 하지 말아야 할지 헷갈리기 충분한 상황이다.
한편 경기도교육청은 메르스 확진 환자가 다수 발생한 지역에 대해 전면적인 휴업명령을 내리는 방안에 대한 검토에 착수했다.
이재정 교육감은 메르스 대책의 하나로 “일부 지역의 전체 학교에 대한 휴업명령을 내리는 것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교육청 대변인실이 전했다.
교육부와 복지부가 학교 휴업을 두고 대국민 소통에서 다른 목소리를 내는 것은 여러 부처를 아우르는 컨트럴타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관련기사 보기]
▶▶▶▶ 메르스 확산 비상 기사 보기◀◀◀◀
▶“메르스 감염자수도 아몰랑” 박근혜, 정부 확인 환자수 몰라 구설수
▶“필요없다더니 자긴 썼네” 문형표 마스크 발언 뭇매… 에라이 뉴스
▶“메르스 아몰랑, 미국 갈거야” 박근혜 유체이탈화법 또 도마
▶‘자가격리 중 골프장?’ 실종된 강남 메르스 의심환자가 향한 곳이…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메르스 휴업’ 교육부-복지부 엇박자… “누구 말 들을까”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