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는 14일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내홍을 고강도 쇄신안을 통해 ‘정면 돌파’하기로 했다. 당 윤리심판원도 정청래 최고위원에 대한 공식 조사를 착수했다.
당 지도부는 문 대표가 주재한 비공개회의에서 오는 18일 광주 방문 전까지 당 쇄신안 혹은 쇄신안 마련 계획을 발표하기로 결정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쇄신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김성수 대변인이 전했다. 쇄신방안으로는 전면적 당직개편과 정무직 당직자 전원 사퇴, 공천개혁 등이 논의됐으나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지는 않았다. 발표 시기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렸다. 양승조 사무총장은 광주 방문 전까지 쇄신안을 발표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전병헌 최고위원 등 다수의 참석자들은 우선 쇄신안 관련 ‘로드맵’을 발표한 뒤, 충분한 시간을 갖고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범주류 중진 의원들도 “문 대표에게 시간을 줘야 한다”며 지원사격에 나셨다. 정세균 전 대표는 KBS라디오 인터뷰에서 “당장 직을 그만두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라며 “당을 쇄신하고 혁신해 당원뿐만 아니라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받는 정당으로 거듭나는 노력을 하는 방식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병헌 최고위원도 YTN라디오에 출연해 “문 대표와 지도부도 당 운영과 혁신 등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며 “(문 대표에게) 일정한 시간을 주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 지도부가 마련한 쇄신안이 임시 봉합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지도부의 한 핵심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사실상 ‘친노(친노무현) 패권주의’를 청산하라는 얘긴데, 존재하지도 않는 것을 어떻게 혁신하라는 것인지 고민스럽다”고 말했다.
비노 진영은 문 대표가 마련하겠다는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비노계의 한 재선 의원은 “쇄신안이라는 것이 결국 인사를 좀 하고, 앞으로의 당 운영 방식에 대한 의지의 표명 정도가 되지 않겠느냐”며 “일단 내용을 보고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막말 논란을 야기했던 정 최고위원에 대해서는 “출당 혹은 최고위원직 사퇴 정도까지는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 윤리심판원은 정 최고위원의 징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윤리심판원장인 강찰일 의원은 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윤리규정에 따라 법적인 판단을 할 것이며, 정치적 고려나 사사로운 감정에 이끌리지 않겠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이런 문제로 오래 끄는 것은 좋지 않다”며 신속한 처리를 시사했다. 심판원은 징계청원이 접수된 직후 직권조사를 시작했으며, 첫 회의에서는 추가적인 조사 일정 및 소명절차 등에 대해 논의했다.
한편 자신의 지역구인 여수에 ‘칩거’ 중인 주승용 최고위원은 사퇴를 번복할 의사가 없음을 재확인 했다. 주 최고위원은 여수에 내려가려 했던 오영식 최고위원의 방문을 출발 직전 만류했다. 대신 그는 기자들에게 입장문을 보내 “지금 우리 당에는 ‘집사광익(集思廣益)’의 열린 자세가 절실히 요구된다”며 “‘패권정치’라는 병폐를 버리고, ‘당심과 민심’이라는 주옥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패권정치 청산’에 대한 해답은 이미 우리 당의 강령과 정강정책 속에 모두 나와 있다”며 “꼼꼼히 읽고 실천하라”고 조언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새정치민주연합, 고강도 쇄신안으로 ‘정면 돌파’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