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는 ‘찻잔 속 태풍’에 불과했다. 이달 초 터진 ‘성완종 리스트’ 파문은 처음부터 4·29 재보선의 핵심 변수로 여겨져왔다. 다른 모든 정치 이슈를 블랙홀처럼 삼켜 버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재보선 투표결과 성완종 리스트는 표심을 전혀 흔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를 보궐선거 상황을 초래한 야권연대의 ‘원죄’를 덮을만한 호재로 여겨 선거 초반부터 여권을 강하게 몰아붙였다. ‘박근혜 대통령 최측근 실세들의 부정부패 스캔들’이라고 규정하며 여당은 물론 청와대를 향해 맹공을 퍼부었다. 지난 20일 이완구 전 국무총리가 사의를 표명할 때까지도 야당은 “민심은 우리의 것”이라고 쾌재를 불렀다.
노무현정부 시절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특별사면을 물고 들어간 여권의 ‘막판 물타기’가 결과적으로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당초 재보선 낙승을 기대했지만 ‘초대형 악재’를 만난 새누리당은 이 총리 사임 직후 대대적인 반격에 나섰다. 재보선 사전투표를 앞두고 새누리당은 성 전 회장이 노무현정부에서 2차례 특별사면을 받은 점을 집요하게 문제 삼았다.
그러나 박근혜정부의 도덕성과 정통성까지 위협하며 들끓었던 부정적 여론은 이 전 총리 사임과 함께 누그러들기 시작했다. 동시에 성 전 회장의 특사 논란이 확산됐다. 새정치연합은 “성 전 회장 특사는 이명박정부 인수위의 요청에 의한 것”이라고 맞불을 놨다. 재보선 사전투표가 시작된 24일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가 긴급 기자회견을 자처해 “특사와 관련해 더러운 돈 받은 적이 없다”며 맞섰지만 논란은 더 지속됐다.
선거를 하루 앞둔 지난 28일에는 박 대통령까지 가세했다. 박 대통령은 입장표명을 통해 “성 전 회장에 대한 연이은 사면은 국민도 납득하기 어렵다”며 “법치를 훼손하고 나라 경제도 어지럽히면서 결국 오늘날같이 있어서는 안 될 일이 일어나는 계기를 만들어줬다”고 했다. 문 대표가 곧바로 “선거의 중립도 위반했고 물타기로 사건 본질을 가리고 나선 것”이라 반발했다. 그러나 표심은 문 대표의 ‘부정부패 정권 심판론’에 힘을 실어주지 않았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4·29재보궐] ‘성완종 리스트’ 파문 영향 없었다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