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의 우경화 정책 등으로 인해 상당수 일본인들이 과거 전쟁 때 피해를 입은 국가들에 대해 충분한 사죄와 보상을 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사히신문은 전후 70주년을 맞아 3∼4월 전국 성인 남녀 3000명(유효응답자 2016명)을 대상으로 우편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쟁 피해를 입은 국가 및 국민에게 사죄와 보상을 충분히 했다’고 응답한 사람이 57%로 나타났다고 14일 보도했다. ‘아직 충분하지 않다’고 답한 사람은 24%에 불과했다.
과거 전쟁에 대해 ‘학교에서 제대로 배웠다’고 밝힌 일본인은 13%에 그쳤다.
아울러 ‘정치인은 피해를 준 국가들에 앞으로도 사죄의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는 응답이 46%, ‘그럴 필요 없다’는 응답이 42%로 비슷하게 나왔다.
또 ‘전쟁 등 피해를 준 주변국가와 잘 지내고 있다’는 응답자 비율은 46%에 머물러 ‘그렇지 않다’는 답변(50%)보다 적었다.
반면 아사히가 지난달 독일에서 현지업체에 의뢰해 비슷한 내용의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 ‘나치 시대에 대해 학교에서 제대로 배웠다’는 독일인 응답자는 48%로, ‘제대로 배우지 않았다’(46%)는 응답보다 많았다. 또 ‘정치인은 피해를 준 국가들에 앞으로도 사죄의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독일 응답자는 55%로, ‘그럴 필요 없다’(42%)는 응답자보다 많았다.
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가 국제 분쟁에 대응하는 다른 나라 군대를 후방 지원하기 위해 자위대를 수시로 국외파견할 수 있게 하는 일반법(항구법)에 국제평화지원법이라는 명칭을 붙이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일본은 또 한반도에 유사사태가 발생할 때 미군 지원을 가정하고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주변사태법을 지리적 제약을 시사하는 ‘주변사태’라는 표현을 없애고 ‘중요영향사태법’으로 개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일본인 "과거사 제대로 배웠다' 13% 불과, 독일인은 48%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