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들이 뱃살을 빼야 할 이유가 하나 더 늘었다. 뱃살 때문에 허리둘레가 엉덩이 둘레보다 더 넓으면 치매 위험이 덩달아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서상원·김희진, 건강의학본부 강미라·신희영, 연세대 예방의학과 김창수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은 45세 이상 정상 인지 기능을 가진 건강검진 수진자 1777명(평균나이 64.9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남성의 경우 복부 비만이 대뇌피질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대뇌 피질은 대뇌의 표면에 위치하는 신경세포들의 집합이다. 두께는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1.5~4㎜정도다. 대뇌 피질은 부위에 따라 기능이 다르며 각각 기억, 집중, 사고, 언어, 각성 및 의식 등 중요 기능을 담당한다. 대뇌피질의 신경세포가 죽어 두께가 감소하면 치매 걸릴 위험이 높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의 뇌를 3차원 MRI로 촬영,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WHR)과 대뇌피질의 변화를 측정해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이 측정한 남성 수진자(887명)의 평균 WHR 값은 0.937이었다. 이들을 WHR값에 따라 평균치인 0.94~0.96그룹(312명)과 0.89 이하 그룹(93명), 0.90~0.91그룹(117명), 0.92~0.93그룹(188명), 0.97~0.98(109명), 0.99 이상 그룹(68명)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 결과 대뇌피질과 관련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 흡연력, 주량, 당뇨병 유무 등 여러 요소들을 감안했을 때, WHR 값이 0.99 이상 그룹에서 대뇌피질의 두께에 유의미한 변화가 확인됐다.
즉, 이들 그룹의 경우 기준이 됐던 평균치 그룹(0.94~0.96)에 비해 대뇌피질 두께가 0.338*10-얫㎜ 가량 줄어들었다.
하지만 여성 수진자(890명)에게는 복부비만에 따른 대뇌피질 두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대뇌피질 두께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줄어드는지 밝히는 것은 한계가 있다”면서도 “선행연구 등을 볼 때 뱃살에 낀 내장지방의 경우 피하지방에 비해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고, 이러한 결과는 뇌실 위축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또 식욕억제 호르몬 ‘렙틴’ 분비도 치매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 보스턴대 의대 연구팀은 “혈중 렙틴 수치가 높으면 노인성 치매 위험이 낮고 이 수치가 낮으면 치매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고 밝힌 바 있다.
서상원 교수는 “특히 줄어든 부위가 뇌에서 CEO 역할을 하는 전두엽 부분이라는 점에서 남성들이 경각심을 가져야 할 대목”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알츠하이머병 국제 학술지(Alzheimer DisAssoc Disord)에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뱃살 남성’ 치매 위험 높다…허리 굵으면 대뇌피질 두께 감소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