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사형통 ‘박심 효과’ 이제 약발 다했나?

Է:2014-07-14 21:00
ϱ
ũ
만사형통 ‘박심 효과’ 이제 약발 다했나?
사진= 14일 오후 서울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참석자들이 박근혜대통령을 환호하자 박대통령이 손을 들어 인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박근혜 효과가 이젠 안 먹히는 걸까?

7·14 새누리당 전당대회는 ‘박근혜 효과’가 한계에 다다랐음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친박’ 주류의 좌장격인 서청원 의원은 2위에 그쳤고 홍문종 의원은 5위를 차지했지만 여성몫인 김을동 의원에 밀려 지도부에는 입성을 하지 못했다.

다시 말하면 현직 대통령이 집권여당 전당대회에 참석하는 이례적인 행보를 통해 서 의원에게 힘을 실어줬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결과는 기대 이하였기 때문이다.

‘박심’ 마케팅은 전당대회 직전 마지막 주말을 앞두고 박 대통령이 이번 전당대회에 참석하는 것으 알려지면서 본격적으로 달아올랐다. 주류 진영에선 서 의원이 김 의원을 바싹 따라잡았다는 주장을 공공연히 흘렸다.

박 대통령이 행사장을 찾으면서 ‘박심’ 효과에 대한 기대는 정점을 찍었다. 박 대통령의 표정은 어느 때보다 밝았고 현장에선 박수가 쏟아졌다.

하지만 정작 뚜껑을 열자 결과는 예상과 정반대였다.

김 의원이 총 5만2706표를 얻어 3만8293표를 얻은 서 의원을 1만4000표 넘게 앞선 것이다. 1만4157표를 얻은 홍문종 의원은 5등에 턱걸이했지만 김을동 의원에 밀려 아예 지도부 문턱을 넘지도 못했다.

더구나 이른바 ‘민심’을 반영한다는 여론조사만 놓고 보면 김 의원은 전체의 24.60%, 서 의원은 18.37%를 차지했다. 6.23%포인트 차이로 3000여표차다.

나머지 1만2000여표차가 결국 책임당원과 대의원 등이 주를 이룬 국민참여선거인단 투표에서 벌어진 것이다. 결국 ‘당심’에서 밀렸다는 말이다.

결국 ‘박심’은 박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대구에서만 효과를 거뒀을뿐 전세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게 대체적 분석이다.

당 관계자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결국 박근혜 효과가 예전만 못하다는 것이 입증됐다고 할 수밖에 없다”면서 “마지막에 박 대통령이 서 의원을 밀고 있다는 신호는 명확하게 전달됐지만, 표로 연결되지 않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태철 기자 tcsh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