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곳곳 ‘부실 위험’… 현대·한라·대성도 관리 대상

Է:2014-04-01 02:03
ϱ
ũ
대기업 곳곳 ‘부실 위험’… 현대·한라·대성도 관리 대상

“부동산 경기 악화에 따른 중소형 건설사의 회생신청 증가, 아파트 가격 하락 및 경기침체에 따른 가계부실 증가 등으로 부실여신(NPL) 잔액이 다시 늘었습니다. (중략) 현재 부실채권 정리가 지속적으로 시행되지만, 경기민감업종의 거액 부실이 크게 확대돼 부실채권 비율·잔액은 지난해 말보다 상승한 상태입니다.”

배드뱅크(부실채권 전문 투자업체) 연합자산관리(유암코)는 지난 28일 공시한 사업보고서에서 우리 금융시장에 부실채권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이 말은 금융회사가 기업 등에 빌려준 돈을 전부 회수하지 못할 확률이 그만큼 커졌다는 이야기다. 원인으로 지목된 것은 조선·건설 등 경기민감업종의 부실이었다.

◇대기업 ‘관심사병’ 늘었다=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기업의 부실채권 비율은 1.77%로 2012년 말에 비해 0.44% 포인트 급증했다. 지난해 9월 금감원이 목표치로 내건 1.49%를 0.28% 포인트 초과한 상태다. 쉽게 말해 은행들이 대기업에 떼이는 돈의 규모가 1년 만에 더욱 늘었다는 것이다.

자연히 ‘위험 등급’으로 분류된 대기업은 증가세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산업은행 등 주채권은행의 관리 하에 있게 될 주채무계열 대기업은 지난해 30곳에서 올해 42∼44곳까지 급증할 전망이다. 주채무계열이란 금융권 차입금이 많은 기업집단의 도산 방지를 위해 주채권은행이 기업을 특수 관리하는 제도다. 최근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된 현대그룹·한라그룹·대성산업 등이 새로운 ‘관심사병’에 포함될 것으로 확실시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예년보다 주채무계열 포함 대기업 수가 늘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고, 4월 말까지 벌이는 재무구조평가에서는 더욱 엄격하고 세밀한 분류 작업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주채무계열 선정 기준은 지난해 은행업 감독규정 개정과 함께 ‘직전 연도 신용공여액의 0.1% 초과’에서 ‘0.075% 초과’로 변경됐다. 그간 금융권 차입금이 1조6000억원을 넘어야 ‘위험 등급’으로 분류됐다면, 올해부터는 그 기준이 1조2000억원까지로 엄격해진 것이다.

◇“성과 없으면 즉각 다운그레이드”=대기업 부실에 대한 각계의 경고음은 새삼스럽지 않다. 지난해 동양그룹 부실 사태 때 ‘눈뜬 장님’ 비난을 샀던 신용평가업계도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지난 26일 “현대·한진·동부그룹 등 3개 그룹의 자구계획 성과가 실질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즉각 등급 조정을 검토하겠다”고 공개 선언했다.

채권시장에서도 현대그룹의 법정관리 위기를 지적하는 신호가 컸다. 금감원이 현대증권의 특별점검에 나서 현대그룹 계열사의 기업어음(CP)과 회사채 판매 내역 등을 들여다본 것도 이 때문이다. 현대상선 등은 3∼5월에 만기도래 CP·회사채가 집중됐는데, 회사채 신속인수제를 위한 차환심사위원회를 통과하며 다행히 유동성 위기의 한 고비를 넘었다.

선제적 구조조정을 천명하는 금융당국은 “‘시간과의 싸움’으로 임한다”는 말을 자주 꺼낸다. 살릴 수 있는 기업은 충분히 지원하되, 살릴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되면 추가 부실을 막는 데 힘쓰겠다는 뜻이다. 금융당국과 산업은행은 대기업의 추가 구조조정 이슈를 두고 거의 매주 정기 회의를 열고 있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대형 시중은행들을 포함, 주채권은행들의 대기업 여신 관리실태에 대해 긴급 점검에 들어갔고, 일부는 완료했다”고 말했다.

이경원 진삼열 기자 neosar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