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예방적 살처분 반대 여론 확대
[쿠키 사회] 정부의 조류인플루엔자(AI) 예방적 살처분에 대해 반대하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12일 충남도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곳 인근 농장에서 진행되는 예방적 살처분은 재검토돼야 한다”고 밝혔다.
안 지사는 “동물 복지나 농가 보상 문제로 볼 때 농가가 보상을 받아도 재정적인 복구가 안 된다”며 “AI 발생 농장 3㎞ 이내에서 이뤄지는 예방적 살처분을 일률적으로 적용해 위험지역에 있는 농가의 닭·오리까지 살처분 해야 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안 지사는 “천연기념물인 논산 오계도 이웃 농장에서 AI가 발생하면 예방 차원에서 살처분해야하는 데 과연 그렇게 해야 하는지 지난 한 달간 고민했다”며 “예방적 살처분 방식이 아무리 봐도 좀 과하다는 여론이 옳은 듯하다”고 설명했다. 안 지사는 “이동제한 등 국가방역체계와 예방적 살처분으로 농민이 너무 큰 피해를 보고 있다”며 “지금이 제도 개선을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동물보호단체는 ‘국내 1호’ 복지농장인 충북 음성군 대소면 D 농장의 닭 살처분에 반발하고 나섰다.
음성군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지역 반경 3㎞ 위험지역에 포함된 이 농장의 닭 3만6000여 마리를 살처분 하기 위해 이날 오전 9시쯤 공무원 120여명을 투입했다. 그러나 동물자유연대 회원 5명은 이날 살처분 현장에서 ‘2월 12일은 축산 미래 살처분 하는 날’ ‘동물 복지농장만이 살길이다’ 등의 피켓을 들고 살처분 중단을 요구했다.
이 단체 조희경 대표는 “오늘 아침 농장에 들어가서 닭들을 안아보니 모두 건강한 상태였다”며 “이런 닭들을 인근 오리농장에서 AI가 발생했다는 이유로 모두 살처분 하는 것은 전형적인 행정 편의주의”라고 주장했다. 조 대표는 “동물 복지농장은 면역력이 강하고, 농장도 청결한 상태로 유지돼 전염병에 걸릴 우려가 적다며 정부에서도 권장한 것”이라며 “구체적인 닭의 상태도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채 마구잡이식으로 동물을 살처분하는 무책임한 방역 정책은 중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살처분 중단을 요구하는 동물단체 회원과 공무원들이 승강이를 벌이면서 살처분은 당초 계획보다 1시간가량 늦어진 오전 10시30분쯤부터 시작됐다. 동물단체 회원들은 현장을 떠나지 않은 채 계속 살처분을 지켜보며 작업 중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음성군 관계자는 “동물 복지농장까지 살처분하는 것이 안타깝지만 AI 위험지역에 포함돼 어쩔 수 없다”며 “작업이 예정보다 늦어져 내일 오후 늦게 살처분 작업이 끝날 것으로 예상 된다”고 말했다.
홍성=국민일보 쿠키뉴스 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