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돌사고때 뒷목부터 잡고 나오는데… 목 상해 99% ‘나일론 환자’

Է:2013-04-08 18:02
ϱ
ũ

도로에서 가볍게 앞차를 들이받아도 상대편 운전자는 십중팔구 뒷목을 잡고 나온다. 추돌사고로 목을 다친 환자 가운데 99%는 ‘엄살’이 의심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보험개발원은 2011회계연도(2011년 4월∼2012년 3월) 자동차 보험의 대인사고 목 상해 치료비가 5625억원이고, 그 가운데 추돌사고에 따른 목 상해 치료비가 51%(2847억원)를 차지했다고 8일 밝혔다. 추돌사고 때문에 발생한 목 상해 비중은 40.6%로 상해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신체 부위로 나타났다. 자동차 보험 환자 평균 입원율은 일본보다 8.7배 높고, 자동차 사고로 인한 목 상해 입원율은 건강보험으로 처리된 목 상해 입원율보다 33배 높았다.

하지만 목 상해 부상자 가운데 45.5%는 별다른 치료가 필요 없고, 53.8%는 간단한 치료만 받으면 되는 경우로 추정됐다.

보험개발원은 추돌 속도 시속 8㎞와 11㎞로 차량 추돌사고를 재현한 결과 목 상해 위험도가 크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추돌 속도는 사고가 난 두 차량의 속도 차이를 말한다.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 심상우 팀장은 “이번 시험에서 차체가 받는 충격을 보여주는 평균 가속도는 1.4g(1g은 9.8㎨) 이하로 나타났다”며 “스웨덴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평균 가속도 4g 이하는 일상생활에서 자연치유가 가능한 정도”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보험개발원은 ‘추돌사고 시 목 상해 위험도 예측 프로그램(WITKit)’을 개발·보급해 가벼운 사고인데도 목을 잡고 고통을 호소하는 ‘엄살 환자’를 가려낼 방침이다. 모든 보험사가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연간 279억원의 보험금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