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불통 자초하는 靑… 김행 대변인 “관계자 인용 말라” 기자들에 요청

Է:2013-04-03 22:01
ϱ
ũ

청와대가 새 정부 출범 이후 청와대발(發) 기사가 쏟아지면서 ‘관계자’ 인용이 늘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김행 대변인은 3일 기자실로 찾아와 자신이 직접 작성한 A4용지 한 장 분량의 편지를 읽었다. 그는 “최근 청와대 관계자 명의로 확인 안 된 기사들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며 “청와대가 논의한 적도 없고 심지어는 대통령 생각과 동떨어진 이야기가 이런 명의로 자주 나오는데 이는 청와대는 물론 해당 언론사 신뢰마저 손상시키는 바람직하지 못한 사례”라고 주장했다. 그는 “청와대는 관계자 명의로 입장을 밝히지 않는다. 이런 기사는 청와대와 무관함을 명백히 밝히며 당연히 책임질 수도 없다”고 했다. “여러분이 요청한 걸 취재해 알려드리면 제 이름으로 써 달라”고 덧붙이기까지 했다. 앞서 윤창중 대변인도 “고위 소식통이나 청와대 관계자 이런 표현은 제가 브리핑할 때만 쓰자”고 말했다. 청와대 주요 인사들이 한목소리로 이런 입장을 내놓자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이 작용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그러나 취재원 신분을 보호하기 위한 ‘관계자’를 인용하지 않을 경우 안 그래도 원활하지 않은 청와대 참모와의 접촉이 더욱 어려워져 언론의 보도 기능이 위축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외교안보 관련 사안은 실명을 밝히면 오히려 국익을 해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비현실적이란 비판도 제기된다. 먼저 익명을 요구하는 청와대 관계자도 적지 않은 게 현실이다.

과거 정권의 청와대도 관계자라는 표현에 거부감을 나타낸 적은 있지만 박근혜 정권처럼 대변인이 편지까지 써 가지고 와 낭독한 적은 없다. 일각에서 청와대가 언론 통제를 하려 한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