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밀려나고 있는 일반고 방치하면 안된다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특목고나 자율형 사립고(자사고)로 몰리면서 일반고교가 밀려나고 있는 현상은 그냥 방치할 문제가 아니다. 우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수월성 교육도 필요하지만 공교육 근간이 흔들려선 안 되기 때문이다.
최근 잇따라 나온 교육 관련 자료들은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고교 다양화 정책이 대다수 중산층과 서민 자녀들이 다니는 일반고를 ‘3류 학교’로 전락시켰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제 교육정보 공시 시스템에 공개된 지난해 6월 서울시내 고교 2학년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결과를 보면 고교 진학 후 자사고와 일반고 학생 간 격차가 더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입시업체가 서울 일반고 214곳의 2012학년도 수능 성적을 조사한 결과는 더 충격적이다. 재학생 3분의 1 이상이 언어·수리·외국어 등 3개 영역에서 평균 7∼9등급을 받은 학교가 32.7%에 달해 일반고의 학력 저하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7∼9등급은 전체 9개 등급 중 전국 백분율 석차로 최하위 23%에 해당하는 성적으로, 4년제 대학 진학이 사실상 어렵다. 교육환경이 그나마 낫다는 서울이 이러니 지방은 어떠할지 불문가지다.
자사고와 일반고는 출발부터 다르다 보니 격차가 벌어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자사고는 중학교 성적 상위 50%인 학생만 지원할 수 있다 보니 일반고보다 기초학력이 미달되는 학생 비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입학해서는 일부 기숙형 자사고들의 경우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스파르타식으로 학생들을 관리하고 상위권 학생들끼리 치열하게 경쟁하도록 하는 반면 일반고는 느슨한 수업으로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자사고는 일반 고교에 비해 3배나 비싼 학비가 든다. 그래서 설립 초기부터 ‘부의 양극화’가 ‘교육 양극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는데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저소득층이 교육을 통해 빈곤을 탈출할 수 있도록 희망사다리를 놓아줘야 한다. 공교육이 바로 서야 하는 이유다. 일반고를 황폐화시키는 자사고를 그대로 유지할 것인지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할 때다.
일반고가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획일적인 입시위주 교육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수준별 교육을 내실 있게 하고 교육과정을 다양화하는 게 필요하다. 문용린 서울시교육감은 얼마 전 과학·예술·체육 등 중점학교를 더 늘리고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 과목 중심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편해 적성과 진로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바람직한 접근이라고 본다. 공교육이 무너지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