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광어 게놈 해독 성공… 수산과학원 “맞춤형 양식 가능”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국민생선’ 넙치(광어)의 게놈(Genome·유전체) 해독에 성공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한국생명공학연구소, ㈜지앤시바이오 등과 24개 염색체로 구성된 넙치 게놈의 5억4000여만개 염기쌍을 해독하고 염색체별 유전체 지도를 완성했다고 18일 밝혔다.
이에 따라 넙치의 맛, 육질, 색상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우성 형질을 밝힐 수 있게 돼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다양한 품종의 맞춤형 넙치 양식이 가능하게 됐다.
넙치는 콜라겐 함량이 많아 단단하고 씹는 맛이 좋다. 지방질 함량이 적은 데다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어 횟감용으로 인기가 높다. 국내 양식 넙치 생산은 연간 5만t(5000억원 규모)이며, 세계 양식 넙치 생산량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연구팀은 2009년부터 넙치 유전체 연구를 시작, 3년간의 연구 끝에 순수 국내 기술만으로 넙치 유전체 해독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생명유전자원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일본 중국 등 세계 각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됐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국제 저명 학술지에 투고할 계획이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