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인수위 해킹” 발표 1시간만에 번복… 野 “국가 망신”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17일 오전 “북한이 인수위 기자실을 해킹한 게 포착됐다”고 밝혔다가 1시간여 만에 뒤집었다. 오후에는 다시 “해킹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알 수 없다”는 모호한 입장을 내놨다. ‘북한의 인수위 해킹’이라는 위중한 안보 사안에 오락가락하면서 혼선을 초래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오전엔 “해킹 포착”, 오후엔 “알 수 없다”=이원기 인수위 미디어지원실장은 오전 9시45분쯤 기자실을 찾아 “정보당국에서 인수위 전체 보안점검을 한 결과 기자실 쪽에서 북한 측이 해킹을 시도하거나 한 그런 것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실장은 불과 1시간여 뒤 발언을 번복했다. 다시 기자실을 찾아 “제가 말씀드린 것은 기자실이 (해킹)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차원”이라고 해명했다. 이미 ‘북한 인수위 해킹’이라는 보도가 인터넷으로 퍼지면서 사태가 일파만파 확산된 뒤였다.
인수위는 오후 3시35분에야 공식 입장을 밝혔다. 윤창중 대변인은 “보안당국에서 기자실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기자들이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개인 패스워드도 자주 교체하도록 당부해 줄 것을 인수위 행정실에 요청해 왔다”며 “이러한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일부 오해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국가 통신망을 사용하는 인수위원들과 달리 상업망을 사용하는 기자들은 취약하다는 설명이었다.
임종훈 인수위 행정실장은 “인수위 입장에서는 기자실에 대한 해킹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알 수 없다”며 “보안당국에서만 알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사실관계 흐리기, 비공식 전달…총체적 ‘먹통’=인수위는 끝내 해킹 여부 등 사실관계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윤 대변인은 공식 기자회견을 열면서도 시종일관 “구체적인 말씀은 드릴 수 없다”며 어물쩍 넘어갔다. 해킹이 있었는지 확인하려는 기초적 질문에조차 “국가 보안 문제”라고 엉뚱하게 둘러대 기자들 사이에서 폭소가 터지기도 했다.
애초에 해킹 주체를 ‘북한’이라고 단정지었던 것도 문제다. 임 행정실장은 “보안당국으로부터 북한이 해킹했다는 말을 들었느냐”는 질문에 “답변 드리기 어렵다” “단정할 수 없다”는 말로 책임을 회피했다.
결국 인수위는 해킹 여부와 주체도 파악하지 않은 상황에서 “해킹이 있었고 주체는 북한”이라며 사실을 ‘뻥튀기’해 온 나라가 들썩거리게 만든 셈이다. 5년 전 17대 인수위 때 컴퓨터 여러 대에 악성코드가 침투하는 등 해킹 정황이 있었지만 북한 소행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와 함께 ‘북한의 인수위 해킹’이라는 심각한 내용을 실무급 당직자가 기자들에게 비공식적으로 전달하고 이를 번복했다는 것도 비판받고 있다. 틈만 나면 “언론 창구는 윤창중 대변인으로 단일화한다”고 말했던 인수위가 이번처럼 민감한 사안을 대변인이 아니라 실무급 인사를 통해 구두로 전달토록 했기 때문이다.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단순 실수나 해프닝이 아닌 인수위의 기강문란 사건”이라며 “이명박 정부 인수위의 ‘오렌지’ 사건만큼이나 국민에게 두고두고 회자될 새 정부의 망신사건”이라고 비난했다.
임성수 유성열 기자 joylss@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