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늦게 암 발견할수록 ‘2차암’ 검진 소홀… 서울대병원·국립암센터 환자 2000여명 조사 결과
이상 증상이 나타난 뒤에 암을 발견한 사람은 ‘이차암’ 검진도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암건강증진센터 신동욱 교수(가정의학과)는 국립암센터 암정책지원과 박종혁 박사팀과 함께 2009년 한 해 동안 전국 10개 대학병원에서 암 치료를 받은 성인 환자 2000여명 중 암 진단 후 2년 이상 생존하고 있는 40세 이상 암 환자 512명을 대상으로 이차암 예방 실태를 조사한 결과 그동안 암 검진을 받아온 사람이 36.9%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10명 중 6명 이상이 이차암, 즉 다른 암이 또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차암이란 첫 암과 전혀 다른 종류의 암세포가 몸 안에서 발견되는 경우를 가리킨다. 다른 부위에서 새로 발견된 암이 첫 암과 같은 종류의 암세포일 때는 이차암이라 하지 않고 전이암 또는 재발암으로 구별한다.
조사결과 첫 암 진단 후 2년 이상 생존 환자들의 이차암 예방을 위한 암 검진 비율은 첫 암 발견 경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즉, 정기 건강검진을 통해 첫 암을 조기 발견한 암 환자(137명)의 이차암 검진 비율은 50.4%였다. 반면 이상 증상을 느끼고 나서야 병원을 방문, 암을 지각 발견한 암 환자들(375명)의 이차암 검진 비율은 32%에 그쳤다. 두 그룹의 이차암 검진 비율이 무려 18.4% 포인트나 편차를 보인 것이다.
이차암 예방 검진을 소홀히 한 암 환자들은 고소득층보다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저소득층에서 배 이상 많았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비엠시 캔서(BMC Cancer)’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