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새누리 “2002 같은 반전 불가능” “상당수 표 이탈” 관측 엇갈려

Է:2012-10-31 19:30
ϱ
ũ

“야권 단일후보가 나와도 2002년 같은 지지율 급등은 불가능하다.” “무소속 안철수 후보로 단일화되면 우리 지지자 상당수가 등을 돌릴 것 같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대선 전략을 짜는 선대위 관계자들이 야권 후보 단일화에 대해 상반된 관측을 내놨다. 낙관론과 비관론이 엇갈려 혼란스러운 분위기다.

한 고위 당직자는 3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는 정치적 성향이 달랐지만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안 후보는 성향을 구분하기 애매하다”며 “단일화가 돼도 지지층이 비슷해 시너지 효과가 별로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단일화 논의를 1년 가까이 하고 있어 극적인 감동도 기대하기 힘들다”고 했다.

반면 한 재선 의원은 “안 후보로 단일화될 경우 ‘시민의 힘이 이겼다’는 심리가 작용해 공감이 클 것 같다. 때문에 박 후보 지지자 중 충성도가 약한 중도층에서 상당수가 안 후보 쪽으로 이탈할 것”이라며 상반된 분석을 내놨다. 그는 “문 후보로 단일화되는 게 그나마 낫다”고 했다. 낙관론을 경계해야 하며 단일화 국면에 대한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단일화 대응 전략도 차이가 있다. 낙관론자들은 “야권 이슈에 휘둘리지 말고 기다리자”고 한다. 선거전은 후보 등록을 기점으로 ‘처음부터 다시’ 시작되기 마련이니, 유리한 구도가 올 때까지 때를 기다리자는 얘기다.

하지만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안 후보로 단일화하면 정책을 강조해 안정 대 불안의 구도로, 문 후보일 경우 친노(親盧·친노무현계) 색이 짙은 만큼 쇄신 대 구태의 구도로 가야 한다”며 맞춤형 전략을 제시했다.

분권형 대통령제와 4년 중임제를 위한 ‘개헌 카드’ 역시 적극적인 단일화 대응 전략의 일환이다. 당의 정치쇄신을 책임지고 있는 안대희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은 “중임제를 위한 개헌에 반대하지 않는다. 진정성만 있다면 대선 전에도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내 ‘개헌 전도사’인 이재오 의원은 분권을 강조하며 “박 후보가 먼저 권력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때문에 당내에선 “당의 분열상만 노출해 야권 이슈에 휘말리게 된다”며 개헌 논의에 반대하는 기류가 강하다.

낙관론과 비관론을 막론하고 단일화는 선거 막바지에 가서나 성사될 것으로 본다. 야권이 대선 최대 이슈인 단일화 카드를 끝까지 손에서 놓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때문에 단일화 과정까지 시간을 번 셈이니 막판 최대 변수일 TV토론을 지금부터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