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帝, 학도병 지원 거부 조선인 최소 400명 ‘강제노역’ 시켰다

Է:2012-08-13 19:31
ϱ
ũ

일제의 학도병 지원을 거부했다가 강제동원돼 노역에 시달린 조선인 학생이 수백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제는 이들을 일종의 ‘사상범’으로 분류해 특별 관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이하 위원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당시 학도병 지원을 거부하고 노무자로 끌려간 학생은 최소 125명에 달한다. 125명은 1944년 일본 제국의회 자료에 공식적으로 언급된 규모다. 그러나 위원회는 복수의 피해자 진술을 바탕으로 노무자로 끌려간 학생이 최소 400명 이상인 것으로 추산했다.

위원회가 신상을 확인한 학생 65명에는 경성제국대(현 서울대)와 일본 와세다대 등 국내외 유수 대학 재학생이 상당수 포함됐다. 국사학자인 고 한우근 전 서울대 교수와 영문학자인 여석기(90) 고려대 명예교수, 민주화운동가 고 계훈제 전 민주통일국민회의 부의장, 고 서명원 전 문교부 장관 등이 포함됐다. 이밖에 미국 우스터대학교 등에서 경제학을 가르쳤던 최기일(90) 전 교수, 1999년 10월 자신이 강제동원됐던 일본 굴지의 기업 오노다시멘트(다이헤요시멘트 전신)를 상대로 LA 법원에 민사소송을 제기했던 고 정재원씨, 권세호(90) 전 영남대 교수 등도 비슷한 고초를 겪었다.

위원회 관계자는 “학도병 지원을 거부하고 강제동원됐던 학생들은 당시 최고 수준의 교육을 받은 엘리트로 민족의식이 강했다”며 “엄혹한 시절이었음에도 양심에 따라 행동한 결과 ‘사상범’ 취급을 받았다”고 말했다. 일제는 이들에게 일반 노무자들이 영향을 받을 것을 우려, 격리해 관리했다고 위원회는 전했다. 이들은 북한 지역에 있는 시멘트 공장과 철도 공장, 채석장 등에 동원됐으며 노역 중 부상하거나 각종 질병과 영양실조에 노출되기도 했다.

문제는 이들의 고통이 더 이상 밝혀지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이다. 올 연말까지인 위원회 활동 시한에 맞춰 업무 분장이 달라졌고, 이에 따라 이들의 사례를 조사·발굴할 인력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위원회 관계자는 “이들의 사례를 발굴했던 조사관은 지금 다른 업무를 하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조사는 중단된 상태”라고 말했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