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하이오주 투표법’ 공방… 美 민주·공화, 해외 군인 조기투표 놓고 대립
민주당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공화당의 밋 롬니 후보 진영이 이른바 ‘오하이오주 투표법’을 놓고 날카로운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오하이오주 투표법은 특별한 거주 상황에 있는 유권자들이 조기 투표할 수 있도록 개정한 법이다. 특별한 거주 상황이란 대부분 해외 주둔 군인과 교포들이다. 이 법에 따르면 이들은 대선 투표일인 11월 6일보다 빠른 날에 투표할 수 있다.
오바마 재선캠페인 위원회는 지난달 17일 이 법이 ‘모든 유권자들을 평등하게 투표하도록 규정한 헌법에 위반된다’며 위헌 소송을 제기했다. 그러자 롬니 후보는 지난 주말 인디애나 유세에서 “현역 군인의 투표권을 제한하려는 것”이라며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에 오바마 캠프의 선거전략가인 데이비드 액설로드 전 백악관 선임고문은 5일(현지시간) 폭스뉴스에 출연해 “롬니 후보가 군인들 뒤에 숨어 (근거 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는 부끄러운 일”이라고 거세게 반박했다. 또 위헌 소송이 군인 유권자들의 투표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는 주장도 했다.
롬니 캠프는 또다시 “연방법도 해외 주둔 군인들을 일반 유권자와 다르게 취급하고 있다”며 위헌 소송이 잘못됐음을 강조했다.
두 진영이 날카롭게 신경전을 벌이는 이유는 대선 결과의 풍향계 역할을 하는 오하이오의 상징성 때문이다. 역대 공화당 후보 가운데 오하이오에서 승리하지 못하고 대통령에 당선된 이는 없다. 2008년 대선 때도 오하이오에서 51.5%의 득표율은 얻은 오바마 대통령이 공화당 후보를 물리쳤다.
‘유권자 ID법’도 논란이다. 펜실베이니아주가 시행 예정인 이 법은 투표할 때 주정부가 발행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제시하도록 하는 규정이다. 펜실베이니아주 공화당은 위장투표를 방지하기 위해 이 법안을 발의했으며 이미 주의회도 통과됐다.
하지만 이 법에 반대하는 민주당 성향의 시민 10여명이 소수계 이민자들과 저소득층 등 일부 유권자들의 투표 행위를 박탈할 것이라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이들은 펜실베이니아주에 사진이 부착되지 않은 신분증을 가진 유권자가 100만명이 넘는다고 주장했다.
김명호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