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성 이론 뒤집었다던 중성미자 발견 “전선 잘못 연결… 실험 오류”…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보도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뉴트리노)는 없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의 발견은 위성항법장치(GPS)의 전선을 잘못 연결해 발생한 실험 오류라고 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해 9월 이 결과가 발표됐을 때 물리학계는 큰 충격을 받았다. 이 실험이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을 뒤집는 최초의 연구였기 때문이다.
이 실험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중성미자가 빛보다 60나노초 더 빨리 이동한 것은 GPS 수신기의 광섬유 케이블과 컴퓨터의 전자카드를 잘못 연결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GPS 수신기는 중성미자의 이동 시간을 측정하는 데 이용된다.
당시 CERN은 프랑스와 스위스 국경지대에 있는 실험실에서 732㎞ 떨어진 이탈리아의 실험실로 중성미자를 발사했고, 중성미자가 빛보다 60나노초 빨리 도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모든 물질은 빛보다 빨리 이동할 수 없다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틀렸을 가능성이 제기됐고, 현대 물리학이 근본부터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빛보다 빠른 물질이 실재할 경우 타임머신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상당수 과학자들은 실험오류 때문인 것으로 보고 검증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중성미자는 질량이 사실상 제로이며 일반 원자와 상호작용하지 않아 땅 속을 진공상태처럼 통과한다. 당시 연구진은 GPS와 원자시계로 중성미자의 속도를 측정했으며 1만5000개의 중성미자를 분석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의 수치를 얻었다고 밝혔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