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 게이트’ 감사 발표] 김은석 대사 해임·수사 요구
감사원 “다이아몬드 매장량 엉터리 알면서도 자료 배포 주도”
감사원 감사 결과 김은석 외교통상부 에너지자원대사가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사업 내용을 부풀리는 등 CNK인터내셔널의 주가조작 의혹 사건에 직접 가담한 사실이 드러났다. 하지만 감사원은 이번 사건의 중심인물인 조중표 전 국무총리실장과 박영준 전 총리실 국무차장에 대해서는 “혐의를 밝힐 아무런 증거도 발견치 못했다”고 결론을 내려 ‘꼬리 자르기’식 부실감사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감사원은 26일 외교부에 김 대사의 해임을 요구하고 검찰에 수사를 요청하는 내용의 ‘카메룬 다이아몬드 개발사업’ 관련 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김 대사는 카메룬 다이아몬드 추정 매장량이 4억2000만 캐럿이라는 것은 CNK의 자체 탐사 결과일 뿐이며, 추가 발파조사 결과 실제 매장량이 당초 추정치의 17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2010년 12월 외교부 보도자료 작성과 배포를 주도했다. 당시 외교부 보도자료는 “이 매장량은 유엔개발계획(UNDP) 조사와 충남대 탐사 결과에 근거한 것”이라고 적시했다.
감사원은 또 “매장량에 대한 의혹이 제기된 뒤에도 김 대사는 카메룬 정부가 최초 매장량 추정치를 공식 인정한 것처럼 꾸며 지난해 6월 2차 보도자료 배포까지 주도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CNK 주가는 급등했으며 이 회사 오덕균 대표는 신주인수권을 팔아 51억원의 이익을 챙겼다. 김 대사 동생과 측근도 주식을 싼값에 취득한 뒤 되팔아 상당한 이득을 봤다. 감사원은 김 대사 비서와 광물자원공사 팀장에 대한 징계를 요구했다. 아울러 감사원은 조 전 실장과 박 전 차장에 대해서는 검찰에 수사참고자료를 제공키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의혹을 폭로했던 무소속 정태근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권력 실세 주변 인물 2명이 CNK 신주인수권을 취득가 이하로 받았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CNK 의혹이 조직적으로 은폐되는 과정에서 사적 권력이 동원됐고 권력 실세 주변 인물들에게 신주인수권이 넘어갔다는 게 그 방증 자료”라고 말했다. 그는 권력 실세가 박 전 차장이냐는 질문에는 답변을 피했다. 정 의원은 또 감사원에 재감사를 요구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부장검사 윤희식)는 이날 서울 옥인동 CNK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또 오 대표와 이 회사 고문으로 취직한 조 전 실장을 포함해 관련자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도 동시에 실시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회계장부 등 각종 서류를 확보했다.
최현수 김재중 기자 hschoi@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