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본 대지진’ 9개월] 지진·쓰나미·원전사고… “동아시아 공동의 위협”
올 3월 11일 일어난 동일본 대지진은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물론 일반 시민에 이르기까지 지진, 쓰나미에 이어 터진 원전사고의 재난 3종 세트는 단순히 자연현상으로만 볼 수 없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특히 상상을 초월하는 대형 지진·쓰나미가 직접적인 원인이 된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는 일본만의 문제로 덮어둘 수 없으며 한국을 비롯한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 공동의 위협으로 인식되었을 뿐 아니라 전 세계의 문제로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한국·중국·대만·일본 연구자들은 일본국제교류기금과 더불어 3·11 동일본 대지진 발생 후 9개월에 맞춰 재난 지역인 미야기(宮城)현 센다이(仙台)국제센터에서 ‘동아시아는 3·11을 어떻게 논했나-복구를 위한 메시지’를 주제로 지난 10일 시민공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재난 현장인 도호쿠(東北) 지역에서 열린 공개심포지엄에는 한국 중국에서 각각 6명, 대만 3명, 일본 11명, 일반 시민 200여명이 참가해 3·11에 대한 각각의 인식을 공유했다.
심포지엄 기조발제에서 작가 겐유 소큐(玄侑宗久)는 ‘종적인 문화에서 횡적인 문화로’를 주제로 내세워 인류가 지금까지 추구해온 경쟁·대립 중심의 종적인 관념을 협력·공존을 중시하는 횡적 인식으로 전환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채찍을 휘두르는 오른손을 왼손보다 더 중시하는 태도가 종적 문화라고 한다면 배의 순항을 위한 승객의 상호 존중이 바로 횡적인 연대라고 소개했다.
이에 발언자로 나선 첸얀(陳言) 중국일본기업연구원 집행원장은 중국의 3·11에 대한 보도에 대해 거론하며 이번만큼은 양국 간 이해관계를 떠나 일본의 긴급사태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다고 말했다. 한국 측에서는 초기에 지진·쓰나미·원전사고에 대해 다소 과장·선정보도가 있었으나 원전사고와 관련해 일국적 인식에서 인근 국가를 포함한 지역공동체의 안위와 관계가 깊다는 인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정리했다.
쉬슁칭(徐興慶) 대만대 교수는 지진이 적지 않은 자국의 사례를 일일이 거론하면서 그때마다 이웃 나라들로부터 지원과 협력이 많은 도움이 되었음을 경험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동아시아에서 원전 활용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게 됐다고 피력했다. 구사고 다카요시(草鄕孝好) 간사이대학 교수는 과거 미나마타병(수은중독증)으로 각인됐던 미나마타시(市)가 시민연대를 통해 주변의 편견을 넘어 일본의 대표적인 환경모델도시로 부상하게 된 성공사례를 소개하면서 연대의 필요성·중요성을 강조했다.
센다이(미야기현)=조용래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