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저축은행-정·관계 비리 커넥션 밝혀내라
금융감독원과 저축은행 비리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 캐면 캘수록 각종 비리가 쏟아져 나온다. 금감원은 범죄 소굴 같다. 금감원 감사실이 2009년 3월 부산저축은행 직원에게서 은행 불법대출 등 금융비리에 관한 인터넷 신고를 받고도 묵살했다는 의혹까지 엊그제 나왔다. 사실이라면 비리를 확인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할 감사실이 오히려 저축은행 비리를 은폐한 셈이다.
더 황당한 것은 내부 제보를 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부산저축은행 감사가 신고를 취하하라며 먼저 접촉을 해왔다고 이 직원이 진술한 부분이다. 그렇다면 금감원 감사실이 신고자 신원에 관한 비밀 보장 규정을 어기고 부산저축은행 측에 알려줬다는 얘기가 된다. 결국 이 직원은 부산저축은행 감사로부터 6억원을 받고 신고 접수를 취하했다고 한다. 금감원과 저축은행의 유착이 이 정도라니 정말 놀랍다.
지금까지 드러난 금감원 전·현직 간부들의 비리 행각 또한 혀를 내두르게 한다. 저축은행 검사를 총괄하는 비은행검사국장 출신 간부는 2007년 6월 퇴직 이후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월급 형태’로 매달 300만원씩 받는 등 모두 2억1000만원을 수수했다니 기가 막힌다. 부산저축은행 검사를 총괄하면서 각종 부실을 묵인해주고 1억여원을 받은 수석검사역(부국장급), 200억원대 은행 대출 알선을 해주고 6000만원을 챙기는 등 ‘대출 브로커’ 노릇까지 한 수석조사역(3급) 등도 있다. 현재 비리 혐의로 사법처리된 전·현직 간부는 10여명이다. 금감원에 썩은 냄새가 진동을 한다.
저축은행 부패도 이에 못지않다. 파렴치한 금융범죄를 저지른 것은 물론 비리를 덮기 위해 금감원 외에 정·관계에도 로비를 한 정황이 검찰에 포착됐다고 한다. 부산저축은행 대주주와 경영진이 차명 주주를 내세워 100억원 이상의 배당금을 챙겨간 뒤 비자금을 조성하고 정·관계 인맥이 두터운 거물 브로커들에게 거액의 돈을 줬다는 의혹이 그것이다. 경영난을 겪던 보해저축은행도 브로커를 기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정·관계 로비 의혹을 철저히 파헤쳐 비리 커넥션의 전모를 밝혀내기 바란다. 금융 부패 구조를 바로잡기 위해 추악한 가면은 반드시 벗겨내야 한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