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만 요란한 ‘한나라 개혁’

Է:2011-05-02 18:24
ϱ
ũ

개혁에 둔감한 거대한 ‘초식 공룡’ 한나라당이 이번에는 바뀔까.

4·27 재보선 패배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해 2일 열린 연찬회에서 의원들은 ‘이대로는 안 된다’는 위기의식을 토로하며, 당·정·청 인적쇄신, 계파해체, 공천개혁 등 쇄신방안을 쏟아냈다.

하지만 이들 개혁안은 결코 새로운 얘기가 아니다. 각론에서의 차이점만 있을 뿐 과거 선거 패배 직후 쏟아졌던 개혁안들과 대동소이하다. 한나라당은 2009년 4·29 재보선에서 ‘0대 5 패배’라는 수모를 당한 뒤 쇄신특위를 꾸렸다. 45일간의 논의 끝에 쇄신특위는 당 운영의 독립성, 상향식 공천제 도입, 전면적 인사쇄신, 조기 전당대회 개최 등 4대 분야에 33개 쇄신과제를 내놓았다. 하지만 이들 과제는 실천이 되지 않았다.

그리고 1년 뒤 한나라당은 6·2 지방선거에서 또 졌다. 지방선거 직후 열린 연찬회에서 의원들은 수도권 민심이반 상황을 지적했고, 일부 의원은 “여당이 청와대의 거수기로 전락했다”며 지도부 교체론을 들고 나왔다. ‘세대교체론’이 제기됐고, 일각에선 계파 청산 운동까지 언급하면서 당내 화합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나 쇄신 목소리는 7월 전당대회에서 주류 측인 안상수 대표가 선출되고, 7·28 재보선에서 한나라당이 승리하면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이처럼 매번 선거 패배 이후 쇄신론이 들끓었다가 언제 그랬냐는 듯 조용해진 이유로 당내에선 공천권 문제를 꼽는다. 실질적으로 공천권을 쥐고 있는 청와대와 실세들의 눈치를 보는 상황에서 인적쇄신 등 개혁안은 구호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주류와 비주류 간 불신이 쇄신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주류 측은 “선거 등 당이 필요로 할 때 아무 일도 안하다가 꼭 일만 터지면 떠드는 게 소장파들”이라고 말하고, 비주류 측은 “실세들의 지시에 따라 날치기 처리 등 정치파행에 앞장서며 민심 이반을 가져온 게 누구냐”고 지적한다.

다수 의원들은 개혁을 주도할 만한 인사가 당 지도부에 있지 않는 한 한나라당 개혁은 어렵다고 말한다. 이날 연찬회에서도 “확실한 실권을 가진 주연배우, 즉 차기 주자 대표를 내세우지 않는 한 내년 총선까지 당청 관계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