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1호 '전원공급 차단기' 2년전부터 결함
현대중공업이 고리원전 1호기 가동 중단의 원인인 전원공급 차단기 결함을 2년 전 이미 알고 있었음에도 이를 은폐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원전 가동 중단에 따른 손실(하루 5억2000만원)에 대해 현대중공업에 법적 책임을 묻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고리 1호기는 지난 12일 차단기 내부의 연결단자를 고정하는 스프링 장력 이상으로 고장이 발생,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21일 대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이 한수원에 납품한 다른 차단기 1개에서도 이번 사고의 원인이 된 내부 연결단자 고정 스프링의 장력 부족 결함이 발견됐다.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된 이 차단기는 고리원전 1호기의 가동을 중단시킨 차단기와 같이 2007년 8월 납품된 것이다. 현대중공업은 이 차단기의 결함을 2009년 이미 알고 있었고, 설계 변경을 통해 차단기의 스프링 굵기를 종전 1.24㎜에서 1.4㎜로 보강했다. 현대중공업은 그러나 이 같은 사실을 한수원에 알리지 않았고, 차단기 리콜 등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설계변경 사실은 이번 사고가 난 뒤 한수원과 KINS가 함께 시설을 점검하고 사고 원인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파악됐다. KINS 관계자는 “현대중공업이 차단기의 문제를 알고 있었음에도 적극적으로 리콜을 하지 않은 셈”이라며 “당시 결함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했다면 이번 가동 중단이 빚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고리 1호기에 이어 지난 19일 고리 3·4호기가 작업자의 실수로 고장을 일으키면서 원전 정비인력 운용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수원에 따르면 국내 원전이 첫 가동된 1978년 이후 지금까지 발생한 ‘인적실수’에 따른 고장 건수는 120건으로 전체 고장(645건)의 18.6%에 달한다. 고리 1호기가 20건(16.7%)으로 가장 많았고, 영광 1·2호기(각 13건)와 고리 3호기(10건)가 뒤를 이었다. 국내 원전 정비는 한국전력 계열사인 한전KPS가 담당하고 있다.
한수원은 또 대표적 노후 원전인 고리원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대형 쓰나미 등 자연재해에 대비, 해안 방벽 높이를 더 올려야 한다고 분석했다. 한수원 고리원자력본부에 따르면 현재 고리 1·2호기의 부지 고도는 7.5m이며 3·4호기 및 신고리 1·2호기는 9.5m다. 하지만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내 원전도 초자연적인 재해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에 따라 높이 15m의 쓰나미에도 원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해안 방벽을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대전=정재학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