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KAIST] 자살 교수도 ‘개혁’ 희생양?

Է:2011-04-11 18:46
ϱ
ũ
[위기의 KAIST] 자살 교수도 ‘개혁’ 희생양?

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에서 학생들의 자살이 잇따른 가운데 이 학교 박모(54·생명과학과) 교수는 왜 자살을 선택했을까.

갖가지 소문이 나돌고 있지만 학생들의 자살이나 서남표 총장의 개혁정책과 연결되는 직접적인 원인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다만 연구인건비를 횡령했다는 교육과학기술부의 감사 결과 파면이나 해임·정직 등 중징계와 검찰에 고발될 수도 있다는 통보를 받고 몹시 괴로워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2월 논문 등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최우수 교수’로 꼽힌 데 이어 올 1월에는 ‘올해의 카이스트인 상’을 받은 직후에 터진 일이어서 충격이 더 컸을 것이라고 동료 교수들은 말하고 있다.

박 교수는 지난해 연구실에 지급된 운영비 1억원 중 2200만원을 개인 용도로 사용한 사실이 이번 감사에서 적발됐다. 교과부는 지난 7일 중징계 및 검찰 고발 방침을 통보했다. 교과부는 지난 2∼3월에 카이스트 종합감사를 실시했다.

박 교수는 3장의 유서를 남긴 것으로 알려졌으나 경찰은 수사를 이유로 2장의 유서 내용에 대한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교수들의 연구비 유용문제는 지난해 말 카이스트 대학원 총학생회에서 문제를 제기, 학교 측이 자체 조사를 한 데 이어 올 초 교과부 감사로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교수협의회 관계자는 “교수들의 연구비 유용을 조사한 결과 거액을 모아뒀던 교수 3명이 적발됐는데, 박 교수가 그중의 한 명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카이스트의 학생에 이은 교수의 자살은 ‘독특한 내부문화’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조기 영재’로서 실패를 모르고 자란 카이스트 학생들처럼 과학 분야에서 최고 엘리트 코스만 밟아 온 카이스트 교수가 외부의 충격을 쉽게 이겨내지 못해 자살을 선택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일부에서는 박 교수의 자살이 서 총장의 개혁정책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한 보직교수는 “1996년 9월 부임한 박교수는 2007년 테뉴어(Tenure·정년 보장) 심사를 통과했지만 교과부의 감사 결과 징계 또는 검찰 고발 시 정년을 보장받지 못할 수도 있었다”며 “이 같은 상황 변동이 박 교수의 자존심을 크게 상하게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교수협의회 관계자도 “과학기술계에 몸담는 이들의 목숨이 파리 목숨인 듯하다”며 “실적 위주의 학교 시스템이 카이스트 사람들을 구석으로 내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생명과학 연구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으로 손꼽히는 연구자다.

2006년 취임한 서 총장은 테뉴어 심사를 강화해 4년 동안 모두 148명의 카이스트 교수 가운데 24%를 탈락시켰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