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방사능 공포] 원전 위기 여전… ‘일본發 방사능 공포’ 전 세계 확산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이 전 세계를 ‘방사능 공포’로 몰아넣었다.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피해 복구 작업은 느리지만 진행은 되고 있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아직도 수습에 난항을 겪고 있다. 동정적이었던 국제사회 여론은 일본이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상황에 이르자 다소 달라졌다.
◇여전히 수습되지 못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대지진 발생 다음날인 지난달 12일 1호기를 시작으로 15일까지 2∼4호기가 잇달아 수소폭발을 일으켰다. 쓰나미 때문에 전력 공급이 중단돼 냉각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는 바람에 노심과 사용후 연료봉이 수면 위로 노출됐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지난달 17일부터 원자로 냉각을 위해 바닷물을 투입하고 전력을 복구하는 데 사활을 걸었다. 그리고 원자로 폭발로 방사능이 유출되자 원전 반경 20㎞ 이내 주민에게 피난 지시를, 20∼30㎞ 주민에게는 실내 대기 명령과 자발적 대피 권고를 내렸다.
도쿄전력은 같은 달 22일 외부 전력을 공급해 3호기 주제어실 조명을 처음 켠 것을 시작으로 1∼4호기 주제어실 기능을 모두 복구하고 25일부터는 바닷물 대신 민물을 주입했다. 5·6호기는 주제어실 기능이 줄곧 살아 있었다. 하지만 25일 압력용기 손상으로 흘러나온 고농도 오염수가 1∼3호기 터빈실에 고여 있는 것이 발견됐다.
특히 2호기 취수구 부근 20㎝ 정도의 균열에서는 고농도 오염수가 바다로 직접 흘러드는 것이 확인됐다. 이 오염수에선 시간당 1000mSv가 넘는 방사성 물질(4∼5시간 노출되면 숨질 수도 있는 심각한 수준)이 검출됐다.
이에 따라 원전 인근 바다에서 기준치의 750만배나 되는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고, 물고기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슘이 검출됐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고농도 오염수를 처리하기 위해 원전 내 저농도 오염수 1만1300t을 4월 4일부터 10일까지 바다에 방류했다. 도쿄전력은 추가 수소폭발을 막기 위해 7일부터 질소를 주입하고 있다. 원자로 상태는 여전히 불안정해 아직도 1∼3호기 노심 일부가 수면 바깥으로 노출돼 있다. 특히 1호기 노심의 70%, 2호기 노심의 33%가 손상된 것으로 추정된다.
◇후쿠시마발 방사능에 각국 비상=후쿠시마발 방사성 물질이 2주 만에 북반구 전체에서 발견됐다. 일본의 경우 후쿠시마 등 5개 현의 채소와 우유에서 기준치 이상의 방사성 물질이 검출돼 출하가 제한됐다. 하지만 일본 이외의 국가에서는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어도 인체에 영향이 없는 미량이다. 하지만 중국과 미국 등에서는 방사능 피폭에 효과가 있다는 요오드 사재기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세계 각국은 원전 정책을 재검토하고 있다. 한국 미국 프랑스 중국 등 대부분 국가는 원전 안전성 강화에 나섰지만 기존 원전 확대 정책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원전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석유나 석탄 등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에너지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신규 건설 계획을 보류하고 노후 원전 수명을 연장하지 않는 등 속도를 늦추기로 했다.
원전 반대 여론이 거센 독일에선 2020년까지 자국 내 원전 17개를 모두 폐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지난해 노후 원전 연장을 승인했다가 최근 지방선거에서 패배한 집권 기민당 연정은 재생가능 에너지 중심으로 에너지 정책을 펴기로 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