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후폭풍] 靑, 정면대응 못하고 속만 ‘부글’
청와대는 31일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비판’ 발언에 ‘로 키(Low Key·온건) 전략’을 구사하는 듯한 모습을 취했다. 박 전 대표 발언에 반대 입장은 분명히 하면서도, 불필요한 갈등은 피하겠다는 뜻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박 전 대표 발언에 우리가 특별히 얘기할 게 없다”고 말했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도 “청와대가 공식 입장을 내놓을 게 없다”고 했다. 지난해 2월 세종시 수정안 문제와 관련, 이명박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강도론’을 놓고 대립할 당시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박 전 대표를 ‘박근혜 의원’이라고 지칭하며 강하게 비판했던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청와대는 박 전 대표 발언 수위를 미처 예상치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관계자는 “발언이 생각보다 심하다”며 당황해했다. 정무를 비롯한 관계 수석실은 긴급회의를 여는 등 긴박한 움직임을 보였고, 회의 결과 정면으로 대응할 필요가 없다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는 후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표현이 과한 점은 있는 것 같다”며 “그러나 박 전 대표도 대구에 지역구를 갖고 있는 정치인으로 여러 상황을 고려하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이러한 청와대의 기류는 몇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우선 박 전 대표의 발언에 강하게 대응할수록 고질적인 한나라당내 친이·친박계 갈등을 키우는 측면이 강하다는 인식이다. 박 전 대표가 뉴스의 중심에 서는 순간 이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갈등을 확산시키지 않는 게 청와대에 유리하다는 의미다.
아울러 박 전 대표의 발언을 ‘대구 지역 의원의 발언’으로 해석하는 것 자체가 일종의 비판일 수도 있다. 차기 대권을 노리는 박 전 대표가 지역적 이해관계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에둘러 한 것이기 때문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박 전 대표 비판에 대한 반응을 묻자 “굳이 반응해야 하는 것인가. 반응하지 않는 것도 반응 아닌가”라고 답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