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나홀로 가구 30년새 10배 늘었다
서울의 1인 가구가 30년 사이 10배 늘어났다.
서울시가 31일 발표한 2010년 서울 가구 및 주거 현황에 따르면 전체 351만 6745가구 중 1인 가구는 83만 8114가구로 23.8%를 차지했다. 세 집 건너 한 집이 ‘나 홀로’ 가구인 셈이다. 전체 가구는 1980년 183만 6903가구에서 30년 만에 2배 정도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1인 가구는 1980년 8만 2477가구에 비해 10배 가량 늘었다.
1인 가구 중 미혼 가구는 1985년 9만 8896가구에서 2005년 41만 310가구로 4.1배 늘었다. 이혼으로 인한 1인 가구는 2005년 7만 9915가구로 같은 기간 8.0배 증가했다. 65세 이상 독거 노인 가구도 같은 기간 1만 1632가구에서 9만 4855가구로 8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한 가구의 평균 가구원 수는 1980년 4.47명에서 2010년 2.76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1인 가구가 급증하는 것은 만혼 추세 속에 이혼이 늘어나고, 혼자 사는 노인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시는 분석했다. 한편 서울의 주택수는 지난해 257만 3000가구로 1995년에 비해 48.9% 증가했다. 시민들의 거주지 선택 요인은 경제력(44.7%), 교통 및 위치(23.4%), 교육 환경(9.4%) 순으로 나타났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