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지진 대책 온도차… 잽싼 G7, 굼뜬 G20

Է:2011-03-20 18:42
ϱ
ũ

동일본 대지진을 놓고 주요 20개국(G20)과 선진 7개국(G7)이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G7은 엔화 가치가 폭등하자 지난 18일 공동개입을 선언하면서 재빠르게 대처해 국제적 위상과 위력을 입증했다. 반면 G20은 다음 달에야 지진이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찾아볼 계획이다.

시장에서는 선진국과 신흥국이 뒤섞여 있는 G20의 구조적 한계로 본다. 국지적, 단기적 사안에 같은 목소리를 내기엔 무리라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이번 엔화공조를 계기로 그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입지가 축소됐던 G7이 G20을 제치고 국제경제 현안에서 다시 주도권을 쥘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20일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G20 각국 정부 당국자들은 지난 11일 일본 대지진 사태가 터진 이후 최근까지 수차례 긴급 전화회의를 갖고 일본 지진이 글로벌 경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점검했다.

이어 G20은 다음 달 14∼1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일본 지진에 따른 공동대응책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국제 에너지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들여다 볼 예정이다. 정부 당국자는 “국제 상품시장에서 가격 변동성을 완화하는 데 대한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이라며 “상품 가격 변동성 완화 방안의 중요도가 일본 지진사태 이전보다 훨씬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G20은 국제금융시장의 급격한 변동을 막기 위한 방안을 폭넓게 논의할 방침이다. ‘선진국 클럽’으로 외환시장에서 유사한 이해관계를 가진 G7이 이미 엔고 저지를 위해 구체적인 행동에 들어갔기 때문에 더 큰 틀에서 문제를 보겠다는 취지다.

이에 따라 신속성이나 공동대응이라는 측면에서 G20이 느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장에서는 당연한 결과라고 본다. G7처럼 공통된 이해관계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돌발 상황에서 같은 목소리를 내기 힘들다는 해석이다. 실제 G20은 일본에 애도를 표하고 신속한 복구를 바란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내려고 했지만 일부 이견으로 성명을 발표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G20은 신흥국이 대거 참여하고 있는 만큼 환율과 관련해 이견이 많다. G7과 같은 구체적인 행동을 취하기는 사실상 매우 어렵다”고 했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