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 내진설계 철저·대피훈련 일상화… 日의 최고 수준 ‘재해 매뉴얼’
일본의 지진 재해 매뉴얼은 세계적 수준이다. 상습 지진 발생 국가인 만큼 내진설계 등 엄격한 건축 규칙이 적용되고, 체계적인 대피훈련이 일상화돼 있다. 이로 인해 일본이 최악의 참사 속에서도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3일 보도했다.
일본은 1995년 고베(神戶) 대지진 이후 내진설계 등 첨단 건축기법의 개발을 위해 수십억 달러의 예산과 많은 자원을 투입해 왔다. 이에 따라 대형 고층 건축물의 기본 골조 내에는 추가로 철근 버팀목과 고무패드가 부착됐고 유압식 충격 흡수장치도 설치돼 있다.
특히 새 건축물을 지을 경우 지진 발생 시 지반이 흔들리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땅속에 고무와 철근으로 구성된 지진격리용 패드를 설치한 뒤 그 위에 건축물이 올라가도록 시공한다. 또 지진 발생 때 건물이 흔들릴 경우 자동적으로 수축과 이완이 이뤄지는 유압식 실린더로 구성된 에너지 소산장치를 골조 내에 설치하고 있다.
쓰나미에 대한 대비도 잘 돼 있다. 일본은 해안 곳곳에 최대 12m 높이의 콘크리트 방파제를 설치해 대규모 파도의 공격을 일차적으로 막고 있다. 일부 해안 지역에서는 지진이 발생할 경우 자동감지 장치가 작동해 주민들에게 경보를 울리고, 바닷물의 역류를 막기 위해 수문이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지진과 쓰나미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비해 일부 지역에서는 대피로를 일어와 영어로 표기해놓고, 하루 3차례 사이렌을 울려 점검한다. 대규모 지진 대피 훈련이 일상화돼 있는 것이다.
이는 2004년 인도양에서 발생한 쓰나미 당시 대피훈련 경험이 부족했던 동남아 주민들이 대규모 인명피해를 입은 점과 대조된다고 NYT는 설명했다.
한승주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