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육 제1목적은 ‘직장’
학생과 부모 모두 대학에 진학하는 제1의 목적으로 ‘좋은 직장’을 꼽고 있다. 또 20년 전에 비해 서울의 초등학생 수는 절반으로 떨어지고 석·박사 학위 취득자는 3배 정도 늘어났다.
서울시가 27일 2010년 통계청의 사회조사와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기본통계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학생 2명 중 1명꼴은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으려는 동기를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서’(47.2%)라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이어 학생들은 ‘자신의 능력과 소질 개발’(34.5%), ‘학력차별 분위기’(12.0%) 순으로 대학 진학 이유를 들었다. 부모가 자녀에게 대학 이상의 교육을 시키려는 이유 역시 ‘좋은 직장을 갖게 하기 위해’(43.7%)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음으로 ‘인격 및 교양을 쌓기 위해’(32.7%), ‘결혼과 친구 등 사회적 유리’(11.4%) 등이라고 답했다. 학생 60.9%는 대학 이상의 교육을 기대했고 34.3%는 대학원 이상을 원했다. 학생들의 부모 중 53.2%는 자녀의 기대 교육 수준을 대학, 39.6%는 대학원이라고 답했다.
서울의 1990년 교원 1인당 초등학생 수는 45.0명이었으나 지난해 학생 수는 19.3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시내 초등학생 수는 56만6149명으로 20년 전인 90년 114만1839명의 49.6% 수준이었다. 초등학교 수는 587개로 90년 463개에 비해 124개 늘어나고, 같은 기간 교원 수는 2만5382명에서 2만9335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1인당 학생 수는 처음으로 20명 아래로 떨어졌다.
유·초·중·고교 학생 수는 38년 만에 130만명대로 감소했다. 지난해 학생수는 135만2817명으로 90년 236만4687명의 57% 수준에 불과했다. 학생 수는 65년 82만1531명, 72년 135만8823명으로 꾸준히 증가해 89년에는 238만8763명으로 최고치에 이른 뒤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다. 서울 소재 대학의 석·박사 학위 취득자는 1만4049명이던 90년에 비해 3배 가량 증가했다. 지난해 학위를 취득한 사람은 석사 3만4495명, 박사 5043명으로 모두 3만9538명이었다.
강주화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