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위냐… 정책위냐… 與 ‘개헌 특별기구’ 진통
한나라당 지도부가 개헌 논의를 위한 특별기구 설치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다. 지난주 개헌 의원총회에서 특별기구를 구성키로 했지만, 이를 당 최고위원회 산하에 둘지, 정책위 산하에 둘지 구체적인 방법론에서 최고위원 간 입장차가 크기 때문이다.
안상수 대표와 김무성 원내대표는 14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 앞서 최고위원들과 조찬 간담회를 갖고 사전 조율을 시도했다. 지난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고위 산하에 기구를 두자고 제안했다 사전 논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통보하느냐며 홍준표 최고위원이 강력히 반발했기 때문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홍 최고위원이 참석하지 않았지만 나머지 최고위원들도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정두언 최고위원은 민심이 따라주지 않는 개헌 논의는 적절치 않다며 기구 구성 논의에서 빠지겠다고 했다. 또 충청과 호남 지역 지명직 최고위원인 박성효 정운천 최고위원은 구제역 등 민생 현안이 많은 상황에서 개헌을 논의하는 것이 시기적으로 부적절하다는 지역 여론을 전달했다. 친박계 서병수 최고위원은 “개헌 논의에 반대하지만, 의총에서 결론이 난 만큼 기구를 설치해야 한다면 당 정책위 산하에 두는 것이 맞다”고 밝혔다. 나경원 최고위원도 개헌 논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뒤 “논의를 제대로 하려면 최고위에 두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고 한다.
안 대표는 간담회 직후 “의견을 더 수렴하겠다”며 시간을 두고 설득 작업을 벌이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최종 결정까지 난항이 예상된다.
간담회에서 최고위원 간에 입장차가 확연히 드러나면서 최고위원회의에서는 개헌기구 설치 문제 자체가 다뤄지지 못했다. 홍 최고위원만 유일하게 공개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최고위 산하 특별기구 설치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그는 “당내 정치 세력 간 조정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특별기구를 최고위 산하에 두게 되면 지도부가 조정 타협할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며 “원내대표나 정책위 산하에 개헌 실무기구를 둬서 지도부가 당내 정치 세력 간 타협을 할 여지를 남기고, 타협이 되면 당 지도부가 야당과의 협상에 나서는 2단계 절차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 최고위원은 또 “개헌 역사를 보면 9번 중 단 2번, 4·19 혁명 직후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했을 때와 (1987년) 6월 항쟁 때만 의회가 국민적 열망을 바탕으로 개헌에 나섰고, 나머지는 전부 대통령이 발의했다”며 “정부 여당이 개헌을 제대로 하려면 대통령이 발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