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공항 논란] MB, 대선후보 시절 TK·PK에 건설 약속… 후보지 좁혀지며 갈등

Է:2011-02-13 17:46
ϱ
ũ

동남권 신공항 건설 논란은 참여정부 시절인 2006년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남권 지방자치단체들은 2027년이면 김해공항의 여객 처리량이 한계에 달할 것이라며 신공항 건설을 요구했다. 이에 노무현 전 대통령이 국토해양부에 타당성 검토를 지시했고 영남권의 주요 현안으로 떠올랐다. 이명박 대통령은 2007년 대선 후보 시절 대구·경북(TK)과 부산·경남(PK) 두 곳의 권역별 공약집에 신공항 건설을 약속했다. 그리고 취임 이후 이를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역 간 갈등이 불거지기 시작한 것은 2009년 국토부가 국토연구원의 용역결과를 통해 신공항 건설 후보지를 부산 가덕도와 밀양 하남읍으로 좁히면서다. 대구·경북·경남은 지리적 접근성과 경제성, 지역균형 발전 차원에서 밀양이 최적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부산지역에서는 가덕도가 바다에 있어 24시간 운영이 가능하지만, 밀양의 경우 산을 많이 깎아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를 둘러싼 지역 간의 다툼은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다. 부산의 ‘바른 공항건설 시민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달 27일 부산역에서 2만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궐기대회를 열었다. 앞서 26일엔 밀양 유치를 지지하는 대구·경북·경남·울산 등 4개 시·도 단체들이 ‘영남권 신공항 밀양유치 범시도민 결사추진위원회’ 발대식을 열었다. 불똥은 정치권으로도 번져 한나라당 영남권 의원들 간의 신경전도 치열하다. 유치에 실패한 쪽은 내년 총선 승리를 장담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정치생명을 걸고 뛰는 모습이다.

정부는 당초 2009년 말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두 차례 연기했다. 최근 정부의 입지 선정 발표가 또 연기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반발이 확산되자 “오는 3월 말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어느 쪽으로 결정되든 지는 쪽이 결과를 수용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사업 자체가 백지화되는 경우다. 건설이 확정되려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필요한데, 국토부가 최종 후보지를 결정해도 기재부가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할 경우 계획 자체가 백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