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이태형] 옥한흠과 유명환
“사람은 분수를 알고(知分) 만족할 줄 알고(知足) 그칠 줄 알아야(知止) 한다.”
한학자이자 유학자인 고 산암(汕巖) 변시연(邊時淵) 선생의 말이다. 그는 70세가 되던 1994년 12월 전남 장성 산골마을로 들어가 ‘손룡정사(巽龍精舍)’라는 서당을 열었다. 그칠 때가 언제인지를 파악하고 실행한 것이다.
지분(知分)하고, 지족(知足)하며, 지지(知止)의 삶을 살기란 결코 쉽지 않다. 조금이라도 힘이 있다고 생각하면 그 힘을 휘두르고 싶은 욕망이 생긴다. 사실 그 힘을 휘두르기 위해서 높은 자리에 올라가려고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최근 유명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 딸의 특채 문제로 사퇴했다. 외교관으로서 그가 쌓아올린 수십 년간의 노력이 물거품이 됐다. 그칠 줄을 몰랐기 때문에 일어난 개인사적 비극이다.
공정한 사회는 결코 구호로서 이뤄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위로는 대통령을 비롯해 아래로는 필부에 이르기까지 자신이 갖고 있는 권력(크건, 작건)을 억제할 때에 공정 사회는 보편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이 지니고 있는 깊은 죄성(罪性) 때문에 ‘그칠 줄 아는 삶’이 이뤄지기는 쉽지 않다.
유 전 장관 딸 특채와 같은 사안들은 사회 도처에서 자행되고 있다. 종교계에서도 역시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을 것이다. 보이는 현상에 분개하지만 막상 그 높은 자리에 올라가면 힘을 휘두르고 싶은 욕망이 들 것이 분명하다. 그칠 줄 모르는 죄성이 우리 모두에게 있기 때문이다.
지난 2일 별세한 고 옥한흠 목사가 우리에게 준 귀한 교훈 하나가 억제력이다. 그의 제자인 분당우리교회 이찬수 목사는 이렇게 말한다. “제게 고 옥 목사님은 ‘억제력’이 무엇인지를 가르쳐주신 분입니다. 할 수 있다고 다해서는 안 된다는, 휘두를 힘이 있다고 마음껏 휘둘러서는 안 된다는 그 억제력을 그분은 삶으로 보여주셨습니다. 모든 것을 억제하면서 오직 한 사람의 구원을 위해서 광인(狂人)처럼 사셨던 분이 바로 옥 목사님이셨습니다.”
고 옥 목사는 비록 당위성 있는 일이라 하더라도 반드시 절제해야 한다고 제자들에게 가르쳤다. 그가 진정 이 시대의 거목으로 존경받는 사람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지지(知止)의 삶이 무엇인지를 알고, 실천했기 때문이리라.
이태형 i미션라이프부장 thle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