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한국에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장을 투입해 AI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범정부 AI 협력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와 4대 그룹(삼성전자·SK·현대차·네이버클라우드)에 14조원어치의 GPU를 공급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이번 사업으로 한국 기업들이 ‘엔비디아 생태계’에 편입되면 한국형 소버린(주권형) AI 구축 계획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황 CEO는 31일 경북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 서밋 특별세션에서 “한국은 제조·소프트웨어·AI 역량이 모두 충분하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AI 인프라를 가진 국가로 발전할 것”이라며 4대 그룹에 GPU 26만장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황 CEO의 GPU 공급 계획은 최근 몇 년간 첨단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AI용 고성능 GPU가 세계적으로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때문에 한국 정부의 목표치도 2030년 기준으로 20만장에 불과했다. 이런 상황에서 황 CEO가 GPU 대량 공급이라는 ‘깜짝 선물’을 한국 정부와 기업에 안긴 것이다.
기업들은 특화된 AI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우선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반도체 AI 팩토리’를 짓기로 했다.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해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지능형 플랫폼이다. 설계·공정·운영·품질관리 등 반도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에 AI를 적용해 스스로 분석·예측·제어하는 시스템이 구현된다.

특히 업계는 이번 협력이 단순한 GPU 공급계약을 넘어 엔비디아 GPU 수요 증가에 따른 삼성전자의 6세대 HBM 납품으로 이어질 것으로 본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에 HBM4를 공급하는 것이 사실상 확실시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SK그룹도 엔비디아와 함께 반도체 연구·개발·생산과 AI 에이전트 개발 등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갖춘 AI 공장을 구축한다. 현대차는 AI 팩토리를 구축하고, 제조·로보틱스·자율주행 전반에 엔비디아의 ‘블랙웰 AI’ 인프라를 도입한다. AI 애플리케이션 센터와 AI 기술 센터를 설립해 한국의 피지컬 AI 산업을 육성하는 방안도 공개됐다.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장 이상 엔비디아 GPU를 자주적·피지컬 AI용으로 배치하고 조선·보안 등 산업별 특화 AI 모델을 개발한다. 황 CEO는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에 구축될 AI 인프라는 언어·피지컬·로보틱스·자율주행 등 산업 전반을 포괄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계는 4대 그룹에서 집중하는 AI 팩토리가 ‘피지컬 AI’를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한다. 피지컬 AI는 컴퓨터 프로그램 속에서만 존재했던 AI와 달리 휴머노이드처럼 물리적 실체를 갖고 생각하며 행동하는 AI를 뜻한다. 황 CEO는 “피지컬 AI는 AI가 물리적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많은 응용 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경주=양윤선 기자 da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