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지식재산권(IP) 가치가 최대 1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상황에서 정작 IP 산업화 역량을 보여주는 ‘글로벌 라이센서 50’에 한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7일 발표한 ‘지식재산권의 산업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조사기관 라이센서 글로벌이 집계한 ‘글로벌 톱 라이센서 50 주요 기업’ 명단에 미국 32개, 일본 7개, 중국·프랑스 각 2개, 스웨덴·영국·캐나다·이탈리아·독일·핀란드·덴마크가 1개씩 이름을 올렸다.
세계 1위 IP인 ‘미키마우스’를 보유한 월트디즈니를 비롯해 ‘트랜스포머’의 해즈브로, ‘배트맨’의 워너브라더스 등 미국 32개사가 지난해 IP 활용으로 벌어들인 수익은 2424억5000만 달러(약 338조원)에 달했다.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13% 수준이다. 중국의 국민 캐릭터로 알려진 ‘양과 회색늑대’를 앞세운 알파그룹도 7억2000만 달러의 수익을 냈다.
한국의 경우 원천 IP가 부족하고 다각적 활용에 대한 전략이 미흡하며 투자 여력도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다. 보고서는 스토리 중심의 ‘슈퍼 IP’ 전략,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대응할 IP 주권펀드, K산업의 해외 지재권 확보 지원 등 3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대한상의는 “케데헌의 인기로 K팝뿐 아니라 김밥 라면 매듭 한옥마을 등이 인기를 끌고 있지만 실제 수익을 올리는 쪽은 미국 플랫폼과 일본 제작사”라며 “‘루미 김밥’ ‘진우 후드티’ 같은 파생 수익을 놓치는 일이 반복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