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철강 생산량 감축 조치가 올 하반기에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국내 철강 업계의 수익성 개선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중국의 저가 물량 공세가 누그러지면 철강 제품의 가격이 올라 얼어붙은 업계에 온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3월 중국 정부가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철강 생산 감축 의지를 밝힌 뒤 중국 일부 지역의 자체적인 생산 감축 조치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 5월 철강 생산량은 전년대비 6.9% 줄었고, 1~5월 누적 생산량은 전년 대비 1.7% 감소했다. 중국 허베이성의 탕산시는 이달 4일부터 15일까지 소결(철광석을 덩어리로 만드는 공정) 가동을 30% 감축하도록 권고한 상태다.
중국 중앙재정경제위원회는 지난 1일 ‘기업의 저가 무질서 경쟁 관리’ ‘낙후 설비의 질서 있는 퇴출’을 강조했다. 글로벌 공급과잉을 유발한 철강, 태양광 등 산업을 겨냥한 발언으로, 업계 안팎에선 하반기에 철강 감산 조치가 더욱 구체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내 철강 업계는 중국의 감산 조치가 확대될 경우 제품 가격 반등과 업황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거라고 기대한다. 국내 업계는 내수 부진에 미국 관세 압박, 중국산 저가 물량 공세의 ‘삼중고’를 겪고 있는데, 철강 제품 가격이 오르면 일단 숨통이 트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철강에 대한 반덤핑 관세도 업계가 주목하는 대목이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 중국산 합금강 열간압연 후판에 대해 최대 38.02%의 반덤핑 잠정 관세를 부과했고, 지난달에는 중국산 스테인리스스틸 후판에 대한 반덤핑 관세를 21.62%로 확정했다. 현대제철이 무역위원회에 제소했던 중국산·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한 반덤핑 조사도 이달 말에 예비조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의 관세 폭탄은 여전히 변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3월 철강 제품에 25% 고율 관세를 매겼고, 지난달 4일 관세율을 50%까지 인상했다. 50% 관세 여파는 오는 8~9월에야 대미 수출 통계 등으로 확인될 전망이다. 미국에서 관세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5일(현지시간) “품목별 관세는 미국의 산업 보호 측면에서 중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어려울 것으로 본다”면서도 “우리나라 입장에서 품목별 관세의 예외 적용이나 대폭 인하가 중요하다는 점을 여러 번 강조했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